고봉주/ 새마을운동 영광군지회 사무국장

영광신문 편집위원

우리 민족 최대 명절인 한가위다.


 


한가위란 가윗날, 가배, 가위 등과 함께 추석을 부르는 순 우리말인데 가윗날, 가위는 가운데라는 의미로 알려져 있어 한가위란 말뜻은 가을의 가운데 달인 음력 8월과 그 가운데 날인 보름으로 만월이 뜨는 명절 가운데서도 으뜸이 되는 날인 것이다.


 


추석의 유래나 어원에 대해서 전해지거나 구전되는 문헌 자료는 없다고 한다.


 


다만 중국의 ‘수서 동이전’ 신라조에 “음력 8월 15일이면 왕이 풍류를 베풀고 관리들을 시켜 활을 쏘게 하였으며 잘 쏜 자에게는 상으로 말이나 포목을 주었다.” 라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어 추석이 이미 신라 초기부터 자리를 잡았음을 알 수 있을 뿐이다.


 


가배라는 말 역시‘삼국사기’ ‘신라본기’에 전해지고 있는데 유리왕 9년 이래 7월 16일부터 8월 보름까지 한 달에 걸쳐 온 나라 안의 6부의 여성들이 두 편으로 나뉘어 길쌈 내기를 한 결과에 따라 진편이 이긴 편에게 술과 음식을 푸짐하게 대접하고 이때 가무와 온갖 놀이로 한바탕 흐드러지게 놀았는데 이를 가배라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옛 부터 길쌈이라 하는 것은 부녀자들의 일로써 매우 고되고 더딘 작업이었다.


 


게다가 가을은 겨울옷감의 준비를 하는 계절이기도 하여 많은 양의 옷감이 필요한 때이다.


 


이것을 내기를 하여 작업의 능률을 올리고, 이긴 편에게 잔치를 베풀어 상을 줌으로써 길쌈을 장려했을 뿐만 아니라 고된 겨울 옷감 준비를 잔치처럼 즐기던 조상의 지혜를 엿 볼 수 있는 것이다.


 


한가위 명절 음식으로는 단연 송편이 꼽힌다.


 


송편은 쌀가루를 반죽하여 햇녹두, 청태콩, 동부, 깨, 밤, 대추, 고구마, 곶감, 계피가루 등을 소로 넣어 둥글게 빚는데 송편이란 이름은 송편을 찔 때에 켜마다 솔잎을 깔기 때문에 붙여졌다.


 


쌀가루를 익반죽할 때 쑥이나 송기를 찧어 넣어 쑥 송편이나 붉은 색의 송기송편을 만들기도 하는데 한가위 때 햅쌀로 빚은 송편은 각별히 오리송편이라고 한다.


 


송편은 지역에 따라 음력 2월 초하루인 머슴날, 또는 설날에도 만들어 먹지만 역시 한가위를 상징하는 음식임에는 틀림없다.


 


송편은 햅쌀로 빚어 솔잎을 깔고 찐다.


 


솔잎은 향이 베여 맛을 더하는 역할도 하지만 좀 더 과학적인 역할이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에 따르면 식물은 다른 미생물로부터 자기 몸을 방어하기 위한 살균물질인 ‘피톤 사이드’라는 물질을 방출하는데, 이는 공기 중의 세균곰팡이를 죽이고 해충이나 잡초 등이 식물을 침해하는 것을 방지 한다고 한다.


 


우리조상들이 생선회를 무채위에 깔고 구더기를 없애려고 화장실에 할미꽃뿌리나 쑥을 걸고, 바퀴벌레를 쫓기 위해 은행나무잎을 집안에 두었던 것도 피톤치드를 이용한 지혜였다.


 


그중에서 소나무는 보통나무보다 10배나 강한 피톤치트를 발산한다고 한다.


 


음력 8월 한가위는 가을이라 아침저녁으로는 선선하나 아직은 한낮의 기온 더운 때인데 이런 일교차로 인해 쌀을 쪄서 만든 송편을 명절 내내 상하지 않게 보관 하는 것이 어려웠을 것이다.


 


그러나 솔잎으로부터 피톤치트를 빨아들인 송편에는 세균이 근접하지 못해 오래도록 부패하지 않고 먹을 수 있다는 것을 우리조상들은 이미 경험을 통해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번 추석에도 우리 지역에서 생산되는 모싯잎 송편이 단세가 났다고 한다.


 


폭주하는 주문을 정중히 거절하느라 진땀을 빼야 했을 만큼 송편가게들이 즐거운 비명을 질렀다고 한다.


 


우리 군내에서 가동되고 있는 80여 곳의 떡집에서 년 20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는 통계가 있고 보면 모싯잎 송편이 어느 샌가 우리지역 경제를 이끌어 가는 효자종목으로 자리를 잡았음이 틀림이 없다.


 


이주여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취약계층 노인들의 여유로운 노후생활을 지원하기 위하여 노동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시작한 ‘산머루 마을’ 사회적 일자리사업단도 많은 송편매출을 올렸다고 한다.


 


문화가 다른 이주여성들이 한국의 전통 음식을 배워 정성스럽게 빚은 송편이 우리나라 사람들의 입맛을 자극했던 것일까?


 


송편을 빚는 이주여성들의 밝은 모습을 지켜보면서 이젠 우리의 형제자매로써 이 땅에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야할 그들에게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고 했던 우리조상들의 덕담을 건네본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