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위기 극복 대안 논의

 농업·농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 지역 먹을거리 체계 구축 논의가 활발하다. 한국농촌사회학회 주최로 지난달 28일 고려대 인촌기념관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는 ‘위기의 한국사회, 대안 먹거리 운동에 길을 묻다’로 열띤 논의가 이어졌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윤병선 건국대 교수는 ‘지역농산물을 활용한 농산가공의 현황과 과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농산물 가공에 사용되는 원료 중에서 지역산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수록 농산가공산업의 농업소득유발효과와 추가적인 고용창출로 이어질 수 있다”며 “거대 식품자본의 지배아래 있는 농산가공부분을 장기적으로 농민적 가공으로 전환해가는 과정에서, 지역농산물을 가공해 지역에 공급하는 다양한 조직들을 발굴해낸다면 농과 식의 단절을 회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청주지역의 농산물 가공조직을 예로 들면서 “농산가공 조직이 지역농산물을 사용하는 이유를 보면 공통적으로 농산물에 대한 신뢰를 꼽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농민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원동 강원대 사회학과 교수는 ‘농민시장의 현실과 이상’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농민시장의 국내·외 사례를 살폈다. 김원동 교수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1994년부터 자국 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전국 농민시장 주소록을 종합적으로 갱신해 보여주고 있다. 특히 미국 농민시장은 1994년 이후 줄 곧 성장세를 보였고, 2008년과 2009년 1년 사이에만 13%정도 늘어났다는 것.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통계자료가 없기 때문에 농민시장의 성장 여부나 추이를 비교할 수 없는 실정이다. 여기에 더해 ‘번개시장’이란 이름으로 춘천에서 열리는 농민시장의 경우 농민주도의 시장이라기보다 상인과 농민이 뒤섞여 도시민과 정을 나누거나 신뢰를 쌓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김원동 교수는 “우리 정부의 경우 농민시장과 관련된 기초 통계자료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농민시장에 대한 정부 차원의 관심이나 육성 노력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정부와 지역주민, 농민 모두가 농민시장을 이대로 방치한다면 농민시장은 지역먹을거리를 매개로 지역공동체에 활기를 불어넣는 장으로 발전할 개연성이 적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