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위원/ 여민동락공동체 대표살림꾼,영광신문 편집위원

혁신의 3중주는 창의, 협동, 융합이다. 지역살림 혁신도 마찬가지다.

산업사회 성장모델을 넘어 새로운 성장전략과 살림모델이 필요하다. 주주자본주의 맹신의 미몽에서 벗어나 협동과 융합의 기조를 바탕으로 한 창의적 경제지대를 구축해야 한다. 전통적 산업단지 위주의 지역보다도 영광군처럼 ‘로컬’이자 ‘농촌’일수록 작고 다양한 규모의 커뮤니티 비즈니스가 유리하다. 이미 전국적인 순례지가 되고 있는 전북 완주군과 같은 사례가 대표적이다. 그래서일까. 박근혜 정부도 고민이 많은 듯하다. 이른바 ‘창조경제’를 둘러싼 논란이 뜨겁질 않는가. 지난 정부에선 ‘녹색성장’을 둘러싸고 말이 많았다. 물론 권력이 교체되면 으레 낯선 개념이 등장하곤 한다. 그래서 전문가들조차 갑론을박한다. 당연히 평민들은 그 속뜻을 헤아리기조차 어렵다. 창조경제를 설파하는 당사자조차도 그 개념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게 아닐까 의심하게 되는 이유이다.

핵심은 간단하다. 창조경제든 녹생성장이든 일차적 과제는 ‘고용창출’을 해결하는데 있다.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면서 실업과 빈곤이 가속화하고 있다. 기업은 성장하는데 고용은 줄고 경제는 발전하는데 양극화는 심화되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정부가 이런 문제를 해결해야 하나 돈이 없다. 그래서 등장한 게 정부도 시장도 아닌 새로운 비즈니스, 이른바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이다. 사회적 기업 육성법이나 협동조합 기본법 제정에서 보듯 이미 국가적 의제가 되었다. 성장만 있고 행복은 없는 경제를 극복해보자는 대안의 소산이다. 알다시피 사회적 기업은 단순한 고용창출 과제를 넘어선다.

친생태 친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수익성과 함께 사회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실현하는 기업이나 자본, 즉 ‘사회적 자본’인 것이다. 그래서다. 언제나 그렇듯 제도보다 사람이다. 이를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이 중요하다. 시스템을 바꾸려면 오직 사람에 투자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 현재 인증 사회적 기업 630개, 예비 사회적 기업 1200개 등 모두 1800여 개의 사회적 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종사자 수도 2만 명에 가까워졌다. 정책적인 육성과 예비 기업가들의 관심이 어우러져 사회적 기업이 비약적으로 늘고 있는 것이다. 물론 5만 5000여 개의 사회적 기업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고, 전체 고용의 5퍼센트를 차지하는 영국(2006년 기준)에 비하면 초보적 수준이다.

사회적 기업이 자생할 수 있는 ‘사회적 기업 성장 생태계’ 조성의 중심에 사회적 기업가가 있다. ‘반쯤 지어진 자본주의를 사회적 기업으로 완성하자!’, ‘사회적 기업의 창조적 가능성으로 구식의 제국주의적 세계화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자!’는 선언에 얼마나 가슴이 설레는가. 영리(profit)가 아닌 유익(benefit)을 추구하는 사람들인 사회적 기업가가 늘어야 사회적 기업은 영리기업과 함께 미래 경제의 양대 축이 될 수 있다. '비즈니스가 사람을 만들고 그 사람들이 비즈니스를 만든다'는 말이 있듯이 사회적 기업의 성장과 사회적 경제의 확산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람이다. 사회적 기업은 일방적인 지원과 자원의 연계를 넘어 자신의 내부 자원을 활용해 핵심 역량을 만들 수 있어야 성공할 수 있다.

그 핵심 내부 자원은 사회적 기업가이기에 훌륭한 사회적 기업가 양성이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사회적 기업가는 당연히 좋은 뜻만 있고 ‘경영 능력’이 없으면 안 된다. 영리기업 이상의 수고와 노동이 필요하고, 부단히 제도와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전문가들과 상의하는 부지런함을 보여야 한다. 그러다보면 새로운 상상력을 통해 또 다른 일을 추진할 수 있는 선순환이 가능해진다.

그것이 바로 협동의 힘이고 사회적 기업, 사회적 경제의 긍정성이다. 그래야 무너지지 않는 기업이 된다. 그래야 단순히 먹고 사는 ‘사업’이 아니라 세상을 바꾸는 ‘살림’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영광군은 지나치리만치 조용하다. 핵발전소와 산업단지가 든든한 자산이라 오인하여 그만큼 느긋한 것일까? 아니면 해당 전문가가 없어서 그저 넋을 잃고 관행의 길만 걷는 것일까? 안타깝기 그지없을 뿐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