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위원/ 여민동락 공동체 대표살림꾼

-협동조합? 그리 존 것이믄 맹글어야제-   

 

목요일은 마을회관 품앗이 학교윷놀이 하는 날이다. 그런데 시절이 시절인지라 모두 모여 앉으셔서 세월호 참사에 한숨만 지으신다.

"맴이 영~ 안 존네! 요새 같은 날은 시끄럽게 허지 말고 조용히 기림이나 기립시다. 거시기 머시냐, 만다라 기림은 좋은 거시람~. 고런 것이나 헙~시다" 그래서 만다라 색칠하기를 했다.

TV로 보고 탄식만 할 뿐, 어찌 할 도리가 없다. 그러나 웃고 떠드는 윷놀이 대신 조용히 그림 색칠만 하는 것으로 참사에 대한 예의와 법도를 지키시는 모습이다. 역시 평민들의 마음씀씀이가 몇몇 정신 나간 고관대작보다 지혜롭고 경건하다. 국가는 그 숱한 요란에도 불구하고 단 한 명조차 구조하지 못했다. 전 국민이 지켜보는 앞에서 수백의 생명을 그대로 수장시켰다. 말도 안 되는 참살 비극이다. 어지간해선 평정심을 지키고 사시는 시골마을 어른들조차 어안이 벙벙하다. 국가? 말 그대로 그들만의 국가였다. 과연 우리들의 국가란 무엇인가. 그래서다. 국가의 대안은 마을이다. 지금 당장 평민들이 나라를 한꺼번에 갈아엎을 힘도 없다. 그렇다고 나라를 떠날 수도 없다. 결국 마을에서 우리들의 나라를 위해 우리 스스로 마을자치를 이뤄가며 살아내야 한다. 세월호 참살이 보여준 확실한 교훈이다.

동락점빵사회적협동조합도 마찬가지다. 이것저것 복잡하게 따지지 않는다. 서로 도와가며 마을에서 이웃과 함께 따뜻하게 살 작정을 하신 거다. “협동조합? 그리 존 것이믄 맹글어야제. 같이 다 좋게 살자는 것인디하신다. 슬픈 일에는 내식구 네식구 관계없이 진심을 담아 애도하고, 좋은 일에는 내것 네것 따지지 않고 마음을 합하신다. 그래서 더욱 창립총회에서 밝힌 권혁범 상임이사의 고백이 절절하다. “3년 전 동락점빵을 만든 건 애당초 일종의 사건이었다. 이문을 바랄 수 없으니, 오래도록 지속될지도 의문이었다. 말이 좋아 이문이 없어도 사람과 사랑을 잇는 마을기업이지, 명실공히 작든 크든 기업이라 하면 경영을 염두하지 않을 수 없다. 마을에 구멍가게 하나 없어서 기초생필품 구입조차 어려운 고령 어르신들을 위해 좋은 뜻 하나로만 시작한 마을기업이었는데, 운이 좋았다. 시작할 때의 불안과는 달리 단 1원의 마이너스도 없었다. 물론 예상대로 이문도 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제 그럴싸한 지역일체형 마을기업으로 안착했다. 온전히 주민의 협력과 선의로 가능했던 일이다. 그렇게 성장한 동락점빵을 이제 주민들에게 바치는 단계다.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하여 수익이 발생하면 모두 마을기금으로 환원하고, 주민의 힘으로 복지와 경제가 선순환 할 수 있는 자립, 자치형 농촌공동체를 완성해 가는 설계다.”고 한다. 협동조합 대세의 시대에, 제대로 된 마을협동조합의 근본과 그 지향을 말해주는 소중한 안내라 할 만 하다.

뿌리가 튼튼하면 당연히 꽃은 핀다 했다. 동락점빵을 세우고 자리를 잡게 한 건 여민동락이지만, 이를 키우고 살려가는 힘은 주민에게서 나온다. 협동조합으로의 전환은 동락점빵을 여민동락의 소유에서 마을의 공유체로 바꾸는 걸 의미한다. 그게 협동조합 성장의 옳은 방향이자 바른 길이다.

사회적 경제의 튼튼한 마당은 본래 농촌이다. 서로의 손을 맞잡고 나눔과 공유의 가치를 높이고,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회, 사람과 지역이 함께 공생하는 세상! 우리들의 오래된 희망이자 도전이다. 지금 우리에게 국가는 보이 않는다. 정치는 실종됐다. 사회가 우울하다. 국민이 비탄에 빠져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살아가야 한다. 마을에서 마을사람과 함께 마을자치를 이뤄가며 우리들의 나라, 평민들의 공동체를 경작해야 한다. 동락점빵 협동조합의 길이 그렇다. 아주 작은 도전이지만, 농촌 주민들 스스로 이뤄가는 풀뿌리 자치의 텃밭이다. 마침내 이 텃밭은 협동하는 이웃과 함께 스스로 살피고 돕고 살리는 농촌마을 공동체의 드넓은 평야로 확장돼 나갈 보물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