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복더위에는 왜 보양음식을 먹었을까?

무더위를 삭혀주는 복날에 한국인들은 직장에서나 마을에서나 다함께 특정한 음식을 먹는것을 좋아하고 오랜 전통으로 남아 있습니다.

삼복의 음식중에 보편적인건 삼계탕이나 보신탕 이며, 요즘은 개성 있는 다양한 음식으로 복날을 즐기며 더위를 슬기롭고 여유롭게 이기려는 관습은 우리민족의 독특한 지혜로움 입니다.

삼복더위는 대체적으로 7월 중순에 시작이 되어 8월 중순경의 말복을 끝으로 더위가 지나가고 이 한달간에 삼복이 들어 있으며 선조들은 자연과 음식을 벗 삼아 더위를 극복하고 피서를 하였습니다.

삼복기간에 많은 사람들이 산과 계곡 바다로 피서를 떠나는 풍속이 요즘의 대세이고 그 피서행렬로 인하여 고속도로는 북새통을 이룹니다.

삼복의 유래와 삼복더위를 이기는 여러 가지 지혜와 전통은 과연 무엇이 있을까요?

하지 후 셋째 경일(庚日)을 초복, 넷째 경일(庚日)을 중복, 입추 후 첫 경일(庚日)을 말복이라 하여,이를 삼경일(三庚日) 혹은 삼복이라 합니다.

삼복에 왜 몸 보신 음식을 먹는지 그 유래는 과연 어떤것이 있을까요?

복은 원래 중국의 속절로 진(() 이래 매우 숭상된 된듯조선 후기에 간행된동국세시기의 기록에 의하면 "상고하면사기(史記)에 이르기를 진덕공(秦德公) 2년에 처음으로 삼복 제사를 지냈는데, 4대문 안에서는 개를 잡아 충재(蟲災)를 방지했다고 하였다."라는 내용이 전합니다.

이런 고대 문헌으로 보아 삼복은 중국에서 유래된 속절로 추측됩니다

삼복은 1년 중 가장 더운 기간으로 이를 '삼복더위'라 합니다.

삼복더위에 주로 먹는 음식이 있으며 그 음식을 보면 대체적으로 이열치열의 뜨거운 음식으로 보양을 하며 지금도 그 전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초복과 중복, 그리고 말복에 걸친 삼복더위를 이겨내는 시절음식으로 보신탕으로 대표되는 개고기가 있습니다허준이 저술한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보신탕은 오장을 편안하게 하며 혈맥을 조절하고,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며, 골수를 충족시켜, 허리와 무릎을 온()하게 하고, 양도(陽道)를 일으켜 기력을 증진시킨다."는 기록이 있어 보신탕의 효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복날에 보신탕을 끓여 먹는 풍속은 여러 세시기(歲時記)에도 나타납니다. 이들 기록은 개고기의 효능과 복중에 보신탕을 절식(節食)으로 즐기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우리 민족이 개장국을 건강식으로 널리 즐겼음은 분명하나 지방에 따라서 개고기를 먹으면 재수가 없다고 하여 금하기도 하였습니다.

또 특정 종교의 세계관에 의해 개고기를 식용으로 하는 것을 금기 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보신탕을 대신하여 삼계탕을 즐기기도 합니다.

삼계탕은 햇병아리를 잡아 인삼과 대추, 찹쌀 등을 넣고 고은 것으로써 원기를 회복하는 데 도움을 주는데요. 이외에도 팥죽을 쑤어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고, 질병에도 걸리지 않는다고 하여 초복에서 말복까지 먹는 풍속이 있습니다. 팥죽은 벽사의 효험을 가진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더운 복 중에  악귀를 쫓고 무병하려는 데에서 나온 풍습이라고 합니다.

요즈음은 전복과 추어탕 등으로 보양을 하기도 하며 지역과 세대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구의 온난화로 인하여 더위는 더 일찍 시작되고 더위의 기간도 길어지는 요즘 보양식으로 여름 더위를 건강하게 나기를 바랍니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