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약 단계 진도 못 나가며 지지부진

핵연료 보관위한 사전 정지작업 의심

영광군이 한수원에 900억원 규모의 상생사업을 요구했지만 사용후핵연료 논란과 엮이며 난감한 상황이다.

영광군 및 한빛원전 등에 따르면 군은 지난 518일 한빛원전을 통해 한수원 본사 측에 대학 등 교육기관 설립과 기업유치 500, 영광농특산품 수도권 거점 물류센터 300, 한빛원전 온배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사업 100억 등 크게 3가지로 구성된 지역상생사업 주요 제안사업을 요구했다. 지난해 한빛원전 측이 공식 제안한 400억원 보다 2배가 넘는 규모다.

공문을 통해 정식 제출된 상생사업의 지원여부 및 규모는 매달 열리는 한수원 본사 이사회에서 결정하는 점을 감안하면 이르면 6~7월 사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했었다. 오는 9월 임기가 끝나는 호남출신 조석 한수원 사장이 현직에 있어야 실현 가능성도 높을 것으로 보고 늦어도 9월까지는 확정해야 한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정상적인 절차대로라면 한수원과 영광군이 지원규모를 최종 조율한 뒤 양측이 사업추진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고 한수원 본사 이사회에서 결정하는 수순이다. 하지만, 상생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가 이루어지기 전인 지난달 25일 정부가 사용후핵연료 현황 및 대책과 관련해 원전 내에 건식저장시설을 지어 핵연료 포화에 대비한다는 취지의 국민안전 관리로드맵을 밝히자 핵연료 갈등이 촉발된 상황이다.

원전 상생사업과 핵연료 정국이 엮이면서 영광지역이 핵연료 문제를 빌미로 앞에서는 반대를 외치며 뒤에서는 수백억원 규모의 상생사업을 요구하는 오해를 부르는 난감한 상황이다. 지난해에는 상생사업을 주도했던 군의회가 특정의원의 독단과 한빛원전의 공유수면 점·사용을 허가한 대가로 이를 추진했다는 등의 비난을 받자 사업 추진을 영광군에 떠넘긴바 있다.

특히, 지난 17일 사용후핵연료 정부 공청회 파행에 이어 대규모 집회까지 검토되는 등 핵연료 문제가 원전지역을 넘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시기적으로 상생사업 논의도 주춤해진 상황이다. 최악의 경우 정부, 한수원, 원전지역 간 사용후핵연료 갈등이 극에 달하면서 상생사업 자체가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상생사업 핵심 관계자는 사용후핵연료 논란과 상생사업 추진 시기가 겹치는 우려했던 상황이 벌어졌다핵연료와 관련성이 없는 상생사업은 별도 분리해 추진에 속도를 내야한다고 전했다. 반면, 일각에서는 한수원의 상생사업 제안이 사용후핵연료 문제를 진행키 위한 미끼로 의심 된다는 반응도 있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