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성리학의 출발에 큰 영향을 미친 조선의 선비

왜국의 포로가 된 조선의 선비 강항간양록

이국 땅 삼경이면 밤마다 찬 서리고 어버이 한숨 쉬는 새벽달일세.

마음은 바람 따라 고향으로 가는데 선영 뒷산에 잡초는 누가 뜯으리.

피눈물로 한 줄 한 줄 간양록을 적으니 임 그린 뜻 바다 되어 하늘에 닿을세라.’

이 노래는 신봉승 작사, 조용필 작곡, 조용필이 부른 MBC 문화방송의 1980년 방영 드라마 간양록의 주제가 간양록으로, 조용필 2집 앨범에 실려 있다.

사극을 많이 쓴 극작가로서 역사에도 조예가 깊은 신봉승씨는 이 가사를 강항(姜沆, 1567~1618)이 일본에 억류되어 있을 때 겪으며 보고 들은 일을 귀국하여 기록한 간양록’(看羊錄)에 실린 시를 바탕으로 썼다. 강항은 전라 좌병영 우후(虞候)로 싸우다가 사로잡혀 일본으로 끌려 온 이엽(李曄)이 탈출하다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 이엽이 쓴 시를 강항이 전해 듣고 간양록에 기록한 것을 참조했던 것. 다음은 그 일부다. ‘어버이는 밤 지팡이 잃고 새벽달에 울부짖으며지켜 오던 조상 묘지에는 풀 반드시 거칠었으리.’

간양록에서 간양’(看羊)은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양을 돌본다는 뜻이다. 또한 중국 한나라 무제 때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어 흉노왕의 회유를 거부하고 양을 치는 노역을 하다가 19년 만에 돌아온 소무(蘇武)의 충절을 뜻하는 말이기도 하다. 강항 자신이 붙인 본래 제목은 건차록’(巾車錄)이었다. ‘건차(巾車)’는 죄인을 태우는 수레이니 적군에 사로잡혀 끌려가 생명을 부지한 자신을 죄인으로 자처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그러나 강항이 세상을 떠난 뒤인 1654년에 그의 제자들이 책을 펴내면서 스승을 소무에 견주어 제목을 간양록으로 바꿨다. 강항이 간양록에 수록한 시 중에도 자신을 소무의 처지에 빗대는 대목이 몇 곳 나온다.

간양록내가 겪은 정유재란’(涉亂事述), ‘적국에서 올린 상소’(賊中封疏), ‘내가 듣고 본 적국 일본’(賊中聞見錄), ‘귀국하여 임금께 올린 글’(詣承政院啓辭), 제자 윤순거가 쓴 발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적국 일본의 다양한 사정과 현실을 기록하고 장차 국방을 비롯한 조선의 국가 정책에 관한 견해도 펼치고 있다. 예컨대 전하께서는 장수 하나를 내실 때에도 신중히 생각하셔서 문관이든 무관이든 국한하지 마시고, 품계와 격식으로 예를 삼지도 마시고, 고루한 신의와 사소한 덕행도 묻지 마시고, 이름난 가문을 택하지도 마소서라고 인재 기용에 대한 절절한 안타까움과 소망을 토로한다. 통상을 중시하여 대외 교역이 활발한 일본의 사정을 다음과 같이 전하기도 한다.

왜인들의 성질이 신기한 것을 좋아하고 다른 나라와 통교하는 것을 좋아하여 멀리 떨어진 외국과 통상하는 것을 훌륭한 일로 여깁니다. 외국 상선이 와도 반드시 사신 행차라고 합니다. 교토에서는 남만 사신이 왔다고 왁자하게 전하는 소리를 거의 날마다 들을 수 있으니, 나라 안이 떠들썩한 이야깃거리로 삼습니다. 먼 데서 온 외국인을 왜졸이 해치기라도 하면 그들과의 통교가 끊어질까 염려하여 반드시 가해자의 삼족을 멸한다 합니다. 천축 같은 나라도 매우 멀지만 왜들의 내왕이 끊임이 없습니다.’ -귀국하여 임금께 올린 글중에서. ‘간양록’- <다음호에 계속>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