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수년 상습지구 있는 저류지도 관리 못해

올해 예비비등 수십억 쏟지만 항구대책 감감

뒤늦은 장맛비에 극심한 가뭄도 한숨 돌렸다는 반응이다. 가뭄극복에 주력한 관계자들의 노고도 중요하지만 그동안 추진해 온 대책이 적절했는지는 짚어볼 대목이다.

영광군에 따르면 지난 20일까지 집계된 강우량은 354mm로 평년의 60%, 지난해의 50% 준이다. 많은 비는 아니지만 가뭄해갈에는 어느 정도 기여했다는 판단이다. 이달 초·중순까지 큰비가 없었다면 먹는 물을 제한 공급할 뻔했던 염산 지역도 20여일은 더 버틸 수 있게 됐다.

염산면민들에게 상수도 물을 공급하는 복룡제의 경우 수위가 1m도 오르질 않았다. 이에 군은 우선 200톤 규모의 대형관정과 2km 떨어진 인근 상오제에서 물을 끌어오는 방안을 논의 중이지만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문제다. 대안으로 설도항 안강물을 연하제를 통해 상오제로 공급하는 5억원대 사업을 전남도에 건의한 상태다. 정부에는 복룡제 물모임 향상을 위해 200억원 규모의 확장 사업도 건의했다. 사업추진여부에 따라 염산지역 먹는 물 문제는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 과하게 표현하면 버려진 농업용수를 먹어야 하는 상황도 벌어진다.

특히, 올해 70ha에 가까운 가뭄피해를 겪은 염산면 월평뜰의 경우 용수 부족은 한 두해 일이 아니다. 군은 올해 본예산 137,000만원과 3차례에 걸친 예비비 461,500만원 등을 가뭄대책사업비로 투입한다. 염산 두우제 보강, 야월지구 저류지(4만톤) 신설과 배수로 확장, 월평지구 배수로 구조물화 등 우심지역 4개 지구 대책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예비비로는 저수지 준설 20개소, 소형관정 335, 중형관정 181, 양수장 개보수 20개 지구, 하상굴착 30개소 등을 추진한다. 하지만, 가뭄에 생명줄 역할을 해오던 월평뜰 내 기존 중형 저류지는 국유지임에도 불구하고 민간인이 양식장으로 대부하면서 기능을 상실했다. 주변 작은 저류지들마저 일부 매립되면서 있는 저류지도 관리하지 못해 가뭄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대책사업 역시 지하수 오염 문제를 동반한 무분별한 관정개발이나 하상굴착 등은 항구대책과 거리가 멀다. 준설사업도 사토장이 없어 파낸 흙을 저수지 내에 되쌓거나 규모가 제한 적이고 비가 온 뒤에는 추진조차 불분명하다는 농민들이 원성이 높다.

항구대책인 150만톤을 공급할 수 있는 영산강 4단계 사업마저 10년 넘게 표류하면서 군정의 가장 기본인 치수보다는 관광 등 외형적 사업에 치중해 온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