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서영광․굴비골․백수․축협․수협․임협 등 7곳

오늘(10)6. 13 지방선거와 관련한 선거비용 보전금이 지급된다. 사실상 6. 13 지방선거의 마침표다. 이에 따라 농어민들의 눈과 귀는 내년 313일에 치러질 2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에 쏠리고 있다.

조합장이 이번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군수와 맞먹을 정도로 영향력이 있는데다 지역마다 거미줄처럼 촘촘하게 들어선 농협이 다방면으로 막강한 파급력을 끼치고 있어서다. 이는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2의 지방선거로 불리는 까닭이다. 지방선거가 치러지는 과정, 혹은 그 이전부터 이미 전국동시조합장선거를 준비하는 이들의 발걸음이 분주했던 것도 그래서다.

앞서 2015년 치러진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도 농어민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잘 뽑은 조합장 1명이 농협 개혁의 마중물이 될 수 있고, 고질적 병폐로 자리 잡은 돈 선거가 이참에 뿌리 뽑혔으면 하는 바람 때문이다.

2015년 농협과 축협, 산림조합, 수협과 동시에 선거가 열렸다. 조합장 직선제는 조합원들의 주인의식과 참여도를 높이고 무한봉사 자세를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많았다.

특히 직선제는 명실상부한 농어업인 자조단체로 농수축협이 거듭날 수 있는 기회였다. 하지만 조합장선거는 지방선거나 국회의원 선거들과 맞물리면서 정치 세력화됐다는 여론도 비등하다. 일부 지역에서는 조합장 선거를 둘러싸고 금품 살포나 향응 제공 등의 선거 부정 등으로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무조건 이기고 보자는 식의 입후보자들 간 과당경쟁은 마치 정치권의 그릇된 풍토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지적도 많았다. 이에 따라 여러 조합에서는 적지 않은 후유증을 치러야 했다. 불법 행태는 금품 살포, 음식물 제공, 무단 호별 방문 등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에 못지않은 형태를 보이기도 했다. 특히 지방선거를 통해 지방의회나 자치단체장 후보들과 조합장들이 결속하는 사례도 보였다. 동시 선거를 치루면서 협동조합별 후보들이 합종연행을 시도하며 네편 내편으로 가르는 등 소지역주의를 불러왔다. 아직도 선거이후 시시비비를 가리고 있는 조합도 있다. 이러한 선거후유증은 부정으로 당선된 자신은 물론 업무공백을 포함해 조합 경영을 나락으로 떨어지게 하는 주요인이 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유권자인 조합원들의 의지다. 협동조직은 조합원들의 자발적 참여로 결성하고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농어업인들 결사체이자 경영체다.

한편 제2회 선거는 215일 남았다. 현직 조합장 입장에서야 급할 게 없겠지만 새 인물이 새로운 도전을 하기엔 바로미터. 2회 선거가 농협 개혁의 새 신호탄이 될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