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경제침략으로 온 국민이 분노하고 있다. 일본의 침략성과 치졸함의 모두를 보여주고 있는 이번 사태에서 우리는 온 국민이 하나가 되어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영광신문은 일본이 보여준 그동안의 부도덕성을 재인식하고자 민족문제연구소의 만행 자료를 시리즈로 요약 게재한다.<편집자 주>

 

개혁을 앞세운 침략을 위한 길 닦기

1894년 동학농민군이 봉기하고 이를 진압하기 위해 조선정부가 청나라에 출병을 요청하자 일본은 거류민 보호명목으로 인천에 군대를 상륙시켰다. 이어 그해 723일 경복궁에 난입해 국왕생포작전을 벌였다. 왕궁 점령 이틀 후 일본은 아산만의 청군함대를 기습 공격해 청일전쟁을 도발하였다. 그러면서 일본은 김홍집, 박영효를 중심으로 한 친일내각을 구성하고 조선의 내정개혁에 적극 개입하였다.(12차 갑오개혁) 그러나 18955월 삼국간섭으로 인해 요동반도를 반환하면서 일본의 기세가 꺾이자 민씨 일족은 친러파인 이범진, 이완용 등을 기용해 일본에 대한 견제를 시도했다. 일본은 18957월경 육군 중장 출신인 미우라고로를 주한일본공사로 임명하고 친러 정책을 펴는 명성황후를 제거하고자 여우사냥작전을 획책하였다. 1895108, 새벽 미우라는 흥선대원군을 앞세우고 일본 낭인들을 지휘해 경복궁에 난입하여 명성황후를 시해하고 시체를 불태웠다. 그리고 고종을 위협해 유길준, 서광범 등을 중심으로 한 친일내각을 수립, 을미개혁(3차 갑오개혁)을 추진했다. 일본은 명성황후 시해로 인한 국제적인 비난에 직면하자 미우라와 가담자들을 일본으로 데려가 히로시마 감옥에 가두고 재판했으나 증거불충분을 이유로 모두 석방하였다.
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조선정부대개혁도(69.2×34.5)1894년 일본의 강압으로 이루어진 갑오개혁을 소재로 한 니시키에다. 니시키에란 근대 일본의 목판화로 무로마치시대 말기부터 에도시대 초기에 걸쳐 그려진 우키요에라는 풍속화를 근간으로 한 것이며 이것이 18세기 후반에 이르면 풍부한 색채를 사용하는 컬러판 니시키에로 발전하였다. 초기에는 미인화를 주로 그렸으나 19세기에 들어와서는 풍경화나 일본과 중국의 역사상의 인물을 소재로 삼았고, 일본이 조선과 중국을 침략하면서부터 당시 전황을 알리거나 역사적 사실을 전달하는 보도화가 많이 그려졌다. 이 그림은 오오토리 주한일본공사가 배석한 가운데 조정 대신이 신료와 백성들에게 내정개혁안을 공포하는 장면을 화폭에 담았다. 그림 중앙 상단에 당시 정치상황을 설명한 글이 있는데 민씨 일파의 폐정 때문에 동학농민전쟁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개혁하기 위해 대원군을 내세우고 무력으로 청군을 격퇴했다.”고 적혀 있다. 그림 속의 궁궐을 나서는 기모노 입은 여인은 개혁 조치로 인해 권좌에서 쫓겨나는 민씨 일파를 상징한다.
위 그림과 짝을 이루는 조선전보실기조선왕성대원군참전도도 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다. 전자는 오오토리 공사가 일본군을 지휘하여 조선군과 전투를 벌이며 경복궁으로 입성하는 그림이고, 후자는 대원군과 어린 의화군이 경복궁에 들어와 고종을 배알하는 그림으로 함께 있는 오오토리 공사와 왕궁 주위를 경계하며 도열해 있는 일본군의 모습은 당시의 강압적인 분위기를 느끼게 해준다.
1890년대에 그려진 조선중국 관련 니시키에는 한국과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일본 국민에게 전파하고 제국주의 침략사상을 확산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일본 풍속화를 다년간 연구해온 재일사학자 강덕상 교수는 다른 어떤 매체보다도 민중을 선동하기에 적합했던 게 우키요에 전쟁화였으며, 이를 통해 일본의 근대화가 당초부터 침략과 병행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고 지적한다.

 

식민지배의 서막이 열리다 통감부개청 기념 엽서

▲ 「한국통감부 개청 기념」 엽서. 원안은 초대 통감으로 부임한 이토 히로부미
을사늑약으로 조선을 보호국화한 일제는 침략정책의 지휘부인 통감부 개청을 서둘렀다. 한국통감부개청기념엽서는 1906년 일제가 통감부를 새로 설치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했다. 엽서는 근대 통신 수단의 하나이지만 일제가 발행한 관제엽서는 식민지 지배정책을 미화하고 근대화 업적을 선전하는 수단으로 악용됐다.

도쿄의 미쓰코시 백화점에서 제작한 한국통감부 개청 기념엽서의 기본모양은 일본을 상징하는 벚꽃의 물결 속에 태극기의 4(건곤감리)가 초대 통감인 이토 히로부미를 휘감고 돌아 태극문양을 감싸고 있는 듯한 모습으로 만들어졌다. 특이한 점은 이 엽서가 정부기관에서 제작된 것이 아니라 민간 백화점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통감부 개청 시기에 공식적으로 제작된 관제엽서는 그 종류가 몇 점 되지 않고 통감의 초상이 삽입되어 있지 않다.

▲ 1906년 3월 28일 오후 1시 30분 남산에서 통감부 개청식을 한 후,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가 일본 기생들과 함께 원유회園遊會를 즐기고 있다.(<화보근대백년사> 제8집1904~1910)
19051117, ‘일본국 정부가 대한제국 황실의 안녕과 존엄의 유지를 보증하는 대신,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부를 설치하는 이른바 을사보호조약(2차 한일협약)’이 조인되었다.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대한제국을 보호국화하는데 박차를 가했다. 1905119일 이토 히로부미가 특파대사로 서울에 도착하였으며 다음 날 수옥헌(현 중명전)에서 고종 황제를 알현하고 일본 천황의 국서를 전달했다. 15일에 다시 하야시 공사와 함께 조약 초안을 제시하며 체결을 강요하고 각료들을 개별적으로 불러 이를 종용했다. 17일 어전회의가 열리자 하세가와 한국주차군 사령관이 완전무장한 일본군을 앞세워 경운궁을 포위했고, 서울 일대에도 무장한 군대가 배치되었다. 수옥헌 내 회담장에도 착검한 헌병경찰들이 들어가 황제와 대신들을 위협했다.

이토는 대한제국의 학부대신 이완용, 내부대신 이지용, 외부대신 박제순, 군부대신 이근택, 농상공부대신 권중현 등을 매수하여 조약 조인에 찬성하게 하고, 반대하는 국민들을 총칼로 제압하면서 황제에게 보호조약안을 승인하도록 강요했다.

이렇게 을사늑약이 체결됨으로써 대한제국은 명목상 보호국이나 사실상 식민지가 되고 말았다. 침략의 원흉인 이토가 초대 통감으로 부임하였으며, 개항장과 주요도시에 이사청이 설치되어 식민지배의 기초가 마련된 것이다.

▲ 역대 통감(왼쪽부터 2대 소네 아라스케, 3대 데라우치 마사다케, 초대 이토 히로부미)과 통감부 청사. 통감부는 1906년 2월 1일 대한제국 외부(外部)의 건물에서 개청했으나 곧 남산 왜성대로 옮겼다.
을사늑약에서는 대한제국 황제 밑에 일본정부의 대표자로 1명의 통감을 두어, 한일의정서 이후 제한되던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통감이 지휘·감리하게 하였다. 통감은 오로지 외교에 관한 사항만을 관리한다는 명분으로 서울에 주재하도록 하였으며, 개항장 및 기타 지역에 이사관을 두어 통감 지휘 하에 일본 영사가 관장하던 일체의 직권 및 협약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사무를 관리하게 하였다.

통감부는 일본 외무성에서 독립된 일본 천황 직속의 기관으로, 통감 유고시에는 일본제국 육군의 한국주차군 사령관이 그 직무를 대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한국주차군 사령관은 통감의 명령으로 병력을 사용할 수 있고, 긴급한 경우에는 재량으로 병력을 동원하고, 사후에 통감에게 보고하도록 규정되었다. 이처럼 통감부는 일본육군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1910530일 일제는 육군대신 데라우치 마사타케를 3대 한국통감으로 겸임시키고 630일에는 유명무실하던 한국 경찰을 일본 한국주차군 헌병대에 통합시켜 폐지하였다. 723일 한국에 도착한 데라우치는 이완용과 함께 병합조약을 진행시켰다. 822일 형식적인 어전회의에서 이완용이 전권위원으로 임명되어 같은 날 한일병합조약이 강제로 조인되었다. 그리고 829일에 병합 조약이 공포된 것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