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지도자들은 각성해야 한다

2021-11-22     영광신문

최근 영광에서 발생한 불미스러운 두 개의 사건은 지역의 부끄러운 자화상을 보여주었다.

두 사건 모두 예산의 사용처에 대한 불만과 이해부족에서 발단이 되었다.

영광군 장애인단체 폭력사건은 한빛원전의 예산지원 사업인 장애인 문화예술행사개최를 둘러싸고 단체간 의견충돌이 폭력사태로 비화 되었다.

당초 장애인단체의 내년도 원전지원금 일부가 삭감되자 이에 반발해 관계자들을 동원하여 이 사업 관련한 협의를 하는 회의당일 시위를 벌였다. 이때 또다른 장애인단체는 시위에 참여하지 않고 협조하지 않으면서 갈등이 촉발된 것으로 전해진다.

장애인단체는 힘들고 어려운 장애인들의 복리증진을 위한 단체이다. 이번 일은 개인적이고 사사로움 보다는 단체를 위한 명분에서 시작됐지만 그 이후의 일은 절제해야 함에도 이를 망각한 행동은 반성해야 한다.

영광군은 지난 2019영광군 장애인복지타운을 개관했다. 영광읍 우산공원에 49억원의 예산을 들여 3개동 1,135규모로 장애인 아카데미와, 수어통역센터, 주간보호센터 등의 이용시설과 장애인 콜택시, 장애인편의증진 기술지원센터, 장애인 체육회 등이 입주했다.

장애인을 위한 최고의 시설을 제공하였으나 이를 운용하는 과정에는 능력과 봉사정신이 절실한데도 아직은 미완성 작품으로 보여 안타까운 심정이다.

특히, 도의원과 군의원간 폭언사태도 지역 지도자들의 한계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회자되고 있다. 사태의 주범은 지하수 관정이다. 영광군은 지하수의 오염방지와 청정 지하수 환경조성을 위해 3~4년 전부터 관정 사업을 중단했다. 즉 지역 농민들이 영광군에 관정을 파주길 요구해도 사업 자체를 중단했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이 때문에 영광군은 물론 군의원들에게 관정 요청 민원은 다소 잦아든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군에서는 어려운 관정 민원이 도 예산으로 가능해지면서 문제의 단초가 발생했다.

전남도가 영광군에 지난 4년 동안 배정한 관정사업비는 1843,400만원 규모다. 최근 홍농읍에서 도 예산 대형관정 사업에 불만을 품은 민원인들이 홍농지역 군의원에게 문의하자 해당 의원이 도의원에게 사업 추진의 부당성을 제기하면서 폭언사태로 발전되었다는 설명이다.

도의원이나 군의원 모두 지역 민원해결을 위한 노력이 폭언사태로 확산한 걸 부끄럽게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폭언·폭력 행위는 지역의 지도자로서 부끄러운 행위이다. 지역민의 선택을 받아 지역을 대표하는 지도자의 위상과 사명감을 망각하는 행동을 다시 보여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