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엔 이렇게 일 하겠습니다 - 농업기술센터

2023-03-06     영광신문

2023년 한해 군민들을 위해 추진할 영광군 주요 업무계획을 부서별로 살펴본다. <편집자 주>

고윤자 농업기술센터소장

 

현장중심 지도사업 농가소득 증대 기여

장창종 농업개발과장

일선 농업인과 소통하는 창구로써 10개 읍면에 농업인상담소를 운영하여, 현장 애로·민원 사항을 적시에 해결함으로써 농가 영농고민 해소와 더불어 농가 경영비 절감 등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겠다. 또한,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새로운 농업기술 및 신품종 종자의 신속한 보급과 농촌지도공무원의 역량강화 교육을 수시로 실시하고 타지역 벤치마킹을 통해 농업인의 수요에 맞는 농촌지도사업 추진으로 활력 넘치는 농업농촌을 만드는데 기여하겠다.

 

전문농업 인력육성

농업인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경영목표의 성공적인 달성을 위하여 새해농업인 실용교육, 영광농업대학 운영, 전문농업기술교육, 지역특화품목 현장 컨설팅, 여름철 영농기술교육, 농산물우수관리(GAP) 의무교육 등 맞춤형 교육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우리 농업·농촌을 이끌어갈 청년 농업인의 영농 정착 및 성장 지원을 위해 청년 농부와 함께하는 청소년 희망링크 프로젝트를 지원하겠다. 청년 후계농 육성과 영농 정착 지원사업, 청년 자립형 스마트팜 조성, 창업농장 조성사업, 청년농업인 연구동아리 지원사업, 청년농업인 경영진단분석 컨설팅 등으로 창업 전 시행착오를 줄이고 안정적으로 영농에 종사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신규 귀농인 체계적 정착 지원

신규 귀농인의 성공적인 영농 정착을 위해 농업 창업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영농기반 지원사업과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통해 초기 정착에 대한 부담을 낮추겠다. 귀농인들의 성공적인 영농 창업을 위해 예비 귀농인과 신규 귀농인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교육을 진행하고, 1:1 멘토멘티 현장실습과 전문 현장 컨설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추진하여 농촌 정착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귀농귀촌 동네작가를 운영하여 우리군 농업정책을 적극 홍보하는 등 도시민 유치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여 인구늘리기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모시떡 특산품 육성 및 농촌자원 활성화

2017년 지리적표시제 제104호에 등록된 영광모싯잎송편의 명성과 품질관리를 지속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하여 영광모싯잎송편 지리적표시품 가공 및 품질관리 지원, 지리적표시품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옥당동부 사용 장려책으로 포장재 제작을 지원하겠다. 모싯잎송편의 생산성 향상 및 위생 강화를 위한 가공장비 현대화 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특산자원 융복합 기술지원 사업으로 개발된 모시앙금절편, 모시찹쌀떡을 상용화하여 모시떡 상품 다양화 및 세트 상품화를 위한 굳지 않는 영광모시떡 상품화 지원사업을 추진하여 모시떡 산업 규모를 확장할 계획이다. 지역의 농업농촌을 활용한 치유서비스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치유농업사 자격취득 지원과 치유농업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을 추진하겠다. 농작업 위험성 평가와 농작업 환경개선을 위한 안전장비, 보조장치 등을 지원하는 농작업 안전관리 실천사업을 추진한다. 더불어 지역농산물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가공상품 개발 및 가공 활동 활성화를 위한 가공기술 교육을 추진하여 농촌 생활에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수요자 중심 식량 작물 과학영농 기술보급

정재욱 기술보급과장

최근 소비트렌드를 반영한 식량작물 기술보급 사업을 추진을 통해 농가들의 부가가치 향상 및 농업소득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기능성 쌀귀리 생산단지 육성, 국산 동부 자급체계 구축, 보리 신품종 이용촉진사업을 추진하여 식량작물의 소득의 다변화 유도할 계획이다. 농작물 병해충 종합관리 진단 및 종합검정실 운영, 유용미생물 공급 등 과학영농 현장기술 지원을 통해 식량작물의 안정적인 생산기반을 마련하고 벼 생력화사업 및 특수미 상품화 기술 시범사업 등 농업인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보급기반 마련에 적극 힘쓸 예정이다. 또한, 이상기후 대응 기상분석을 통한 재해 사전 예방 활동지도 및 홍보, 병해충 예찰 정보 제공 등 선제적인 대응을 통해 농작물 피해 최소화에 힘쓸 것이며, 식량작물 실증시험을 적극 추진하여, 고품질 식량작물 안정생산 기반을 확보하고자 한다.

 

트렌드 변화에 대응한 전략적 신소득작물 육성

우리군 원예산업 발전을 위한 대파 연중 안정생산 유통 기반구축을 위하여 맞춤형 미래전략작목 육성 시범사업, 전국 최대의 복숭아 시설재배 단지구축을 위하여 1시군 1특화작목 육성 시범사업, 균일한 딸기묘 안정생산을 위한 딸기 삽목묘 대략증식 기술 시범사업 등 현장 맞춤형 시범사업을 추진하겠다. 이를 통해 채소, 과수산업의 발전과 농가 소득증대를 위한 신기술 보급에 힘쓰겠다. 지속적인 현장 지도를 통하여 농가의 재배기술 향상과 소득증대에 힘쓰겠으며, 더불어 농업기술센터 내 과학영농실증시험포(포도, 망고, 복숭아, 딸기)를 연계 운영하여 지역특화품목 발전을 위한 신기술을 연구하고 보급하는데 집중하겠다. 지속 가능한 축산 실현을 위하여 화재 걱정 없는 원적외 발열선 보온등 보급 시범사업, 축사 공기정화 질병 예방 기술보급 시범사업 등을 추진하겠다. 국내 유통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구마 외래품종을 대체하기 위하여 국내 육성 신품종 증식 및 농가에 확대 보급하겠다.

 

농업인을 위한 농기계임사업소 운영

농업기계화 촉진을 도모하고 이용률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영광군 농기계임대사업소는 20104월 본소 개소 이후 북부분소와 남부분소를 설치하였으며, 임대농기계 1501,385대의 농기계를 구입·비치하여 운영 중이다. 농촌진흥청에서 주관하는 2022년도 농기계교육훈련 종합평가에서 우수군 선정의 영예를 얻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도 성과를 이루고 있다.

2023년에도 농기계 임대사업의 내실화 목표로 농업기계화 촉진을 통한 농가 경영비 절감 및 경쟁력 강화에 힘쓰고자 농기계임대사업소 3개소 책임 있는 현장업무 추진’, ‘농기계·드론·소형건설기계 교육훈련사업 강화’, 주산지 장기임대 사업 확대’, 노후농기계 신품 대체 구입·비치등으로 사업 효율성을 높이겠다. 농업인을 위한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농번기 상시근무제’, 농기계 셀프 이용센터, ‘미세먼지 감축 대응 잔가지파쇄기 무상임대’, ‘도서지역 농기계순회수리교육’, ‘농기계임대사업소 민원서류 스마트 간소화 서비스 제공을 추진하겠다. 농민의 편의성을 향상 시키겠으며, 동부분소 추가 설치에 만전을 기하여 농기계임대사업소의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

 

상사화 자원화 범위 확대 및 미래 농업 자원 기반 조성

스마트 공정 육묘장을 운영하여 관내 소농 및 고령 농가의 경영비 절감을 유도하고, 우량묘 분양으로 관내 농가 생산품의 품질 향상에 힘쓰겠다. 전국 최대의 상사화 자생지 위상에 맞춰 상사화 품종별 유전자원 증식뿐만 아니라 상사화 신품종 재배 육성 사업을 통해 상사화 품종 확대를 시도해 상사화 군락지 위상을 공고히 하며, 원예 활동 생활화 보급과 상사화 절화 상품화 시범사업을 통해 상사화 자원화 범위를 확대 시켜 새로운 농가 소득 기반을 구축하겠다. 또한, 미래농업자원에 대한 연구에 앞서 미래농업자원육성센터 설립 용역을 실시하여 우리군 지역에 맞춘 미래자원 발굴에 박차를 가하고, 관비공급장치 시제품 개발로 농가 노동력 절감에 기여하겠다.

예산내역 <단위: 만원>

 

항목

예산

합계

1193,284

행정운영경비

66,588

농촌지도사업활성화

45,012

농가경영개선지원

16,462

농업전문인력 양성

198,320

도시민 농촌 유치 및 귀농 귀촌인 지원

42,454

농촌 생활환경 개선

84,908

작물환경 신기술 보급

224,113

소득작목 신기술보급

200,450

농기계 이용 활성화

267,198

농업자원 연구개발

47,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