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엔 이렇게 일 하겠습니다 | 일자리경제과
소상공·기업유치·일자리 지원 지역경제 활성화
2024년 일자리경제과는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로 인한 위축된 지역 경제의 위기에 처해 있는 소상공인들의 경영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역경제 활성화 시책을 펼쳐나가고자 한다. 올해 신규로 추진하는 공공배달앱 ‘먹깨비’ 가맹점 배달수수료 지원(최대 20만원)과 더불어 기존에 추진 중이었던 소상공인 온라인 마케팅비용을 지원(최대 50만원)한다. 디지털 기기 도입비 지원(최대 200만원), 무담보·저신용 소상공인을 위한 특례보증 지원,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이자 및 보증수수료를 지원하여 소상공인의 경영안정을 도모하고 착한가격업소 지원도 확대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스마트전통시장(전통시장 플랫폼) 지원사업을 통한 소득증대로 전통시장 활성화 도모와 영광사랑상품권 할인 및 인센티브 지원, 정책수당 지원을 통해 지역 내 소비를 촉진시키고 우리 지역 자금의 역외 유출을 최소화해 지역 소상공인의 소득증대 등 지역경제 선순환 환경을 조성하겠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주민화합 마을공동체 강화 육성
취업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 및 인력 양성훈련 등을 통한 직업능력 개발과 지역 주도 일자리 정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위기 극복으로 군민이 행복하고 공감하는 지속 가능한 지역 맞춤형 일자리를 창출하겠다. 일자리지원센터 운영을 통해 국민취업 지원사업과 연계·협력하여 취업 희망 구직자에게 적극적으로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겠으며, 취업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일자리 제공 및 청년의 지역 정착을 위해 청년 근속장려금 지원과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을 추진하여 청년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 또한, 주민주도의 마을공동체, 사회적 기업 등 건전한 사회적 경제조직 발굴을 통한 지역 일자리 창출과 마을공동체 지원센터와 찾아가는 마을지원단을 운영하여 지역주민 스스로 마을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움을 주어 마을의 활력과 주민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마을공동체를 육성해 인구 유출 예방 및 유입에 힘써 나가겠다.
산업단지 100% 분양 및 기업운영 안정화로 지역경제 활성화
2024년에는 친환경 에너지 우량기업 및 e-모빌리티 생산기업 위주의 적극적 유치로 대마산단의 분양률 100%를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또한, 입주기업의 애로사항을 적극적으로 청취하여 조기에 해결할 수 있도록 방안을 강구하고 전기요금, 이차보전, 기숙사 임차료 및 보증금지원, 통근버스 임차료 지원, 병역특례기업 지정 컨설팅 비용지원 등 맟춤형 지원정책을 추진하겠다.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연장을 통한 각종 세제·판로·자금 지원 등 다양한 지정혜택을 활용하여 운영기업의 안정화와 성장을 도모하겠다. 관내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기존 및 신규입주기업과 적극적인 협의를 통한 관내 고용률을 높임과 동시에 기존 고용인원의 주소이전을 적극적으로 권장하여 경제활동 인구유입으로 지역소비 증진 및 경제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다.
문화시설 등 산업인프라 확충으로 근로 여건 개선
묘량면 신천리·영양리 일원에 공사 중인 ‘묘량농공단지 조성사업’은 공정률 80% 이상으로, 관련 공사인 ‘공공폐수 연계처리시설 설치사업’ 개발이 완료되는 2025년에는 실수요자에게 분양을 계획 중이다. 저렴한 산업용지의 안정적인 공급을 통해 빛그린국가산단·대마전기자동차산업단지·e모빌리티산업 등과 연계한 신규 유망기업을 유치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기존 산업단지 3개소(대마·송림·군서)의 기반시설 정비, 공공폐수처리시설 운영, 공원 및 가로수 정비 등 체계적인 시설관리로 입주기업에게 쾌적한 산업환경을 제공하겠다. 대마전기자동차산업단지 내 ‘복합문화센터 건립사업’도 하반기부터 운영을 시작해 산업단지 내 근로자들에게 쾌적한 여가시설을 제공할 계획이다.
예산내역 <단위: 만원>
|
항목 |
예산 |
|
합계 |
255억3,265 |
|
기본경비 및 인력운영비 |
1억4,329 |
|
기업지원 |
5억0,055 |
|
물가 안정 및 소상공인 지원 |
34억7,174 |
|
고용촉진 및 일자리 창출 |
14억9,389 |
|
사회적경제 육성 |
5억1,028 |
|
투자유치진흥기금(기금) |
55억8,000 |
|
투자유치활성화 |
6,952 |
|
산업단지 운영 활성화 |
15억0,392 |
|
농공단지 운영 활성화(특별회계) |
61억9,963 |
|
특별회계 전출금 |
30억5,963 |
|
기금 전출금 |
20억 |
|
기금 예치금 |
10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