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능·무관심할 거면 자리를 내놓은 게 맞다

2024-04-01     영광신문

영광군과 군의회, 원전 감시기구 및 안전협의회가 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앞서 탈핵단체들은 일본 후쿠시마원전 사고 13년째를 맞아 지난 11일 한빛원전 정문 앞에서 후쿠시마 13주기, 한빛 1·2호기 수명연장 저지대회를 열었다. 단체는 이날 결의문을 통해 2011311일 발생한 규모9 강진과 거대 쓰나미로 일본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는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돼 냉각 기능을 상실하고 핵연료봉이 녹아내리는 멜트다운(노심용융)에 수소폭발까지 일으켰다고 강조했다. 본지가 점검한 후쿠시마원전 사고 후속대책도 13년째 진행형이다. 이런 와중에 규제기관 주도로 지난 12일부터 18일까지 수소폭발 사고를 막기 위해 한빛원전 내에 설치했던 피동형수소제거기가 제기능을 하는지 실험을 했다. 피동형수소제거기는 수소제거기가 있었음에도 전기가 끊겨 작동하지 않아 수소 폭발로 이어졌던 후쿠시마원전과 같은 사고를 막기 위해 전기 없이도 작동하는 설비로 2013년 설치했었다. 당시 기기 검증서 위조 의혹에 주민들까지 나서서 현장 실험을 진행했고 미진해 재추진을 요구했었다. 이후 실험 중 불꽃 의혹이 제기돼 규제기관은 국내 원전 내 설치 제품 실험에 나섰고, 관련단체나 주민 등이 참관해왔다.

특히, 지난해엔 한빛원전에 설치한 동일 제품에 설계기준사고를 가정한 수소농도 4%를 주입해 제거율을 실험한 결과 규제 요건은 만족 했지만 한수원 구매 규격은 미달했다. 실험 과정에 발광입자 및 연소가 확인돼 안전성 문제가 불거졌고 이를 이유로 수소농도를 중대사고 기준인 8%까지 올리는 실험은 불가하단 주장까지 나와 논란이 됐었다. 반면, 타지역 원전제품은 수소농도 4%8% 모두 만족해 한빛원전 안전성 우려가 더욱 커졌다.

그런데 지난 18일까지 진행한 실험은 중대사고를 가정한 수소농도 8%를 제거하는지 확인하는 더욱 중요한 실험이었다. 하지만, 정작 실험을 요구했던 영광지역은 원전 관련기관 및 단체 누구도 참관하지 않아 과거와 대조적이다. 군민을 대표해 원전 안전 문제를 협의하라고 위촉한 김용국 위원장 등 한빛원전안전협의회는 지난 7~8일 실험 소식을 인지하고 13일 회의를 열어 관련 내용을 보고 받았지만 실험 일정 늦장 통보를 은폐라고 질타하면서도 정작 실험이 끝날 때까지 불참했다. 영광군 관련부서와 강종만 군수가 위원장을 맡고 있는 한빛원전환경안전감시기구 역시 불참했다. 군정 일정을 감안해 강 군수 대신 감시기구 부위원장직과 군의회 원전특위원장직을 겸하고 있는 임영민 의원은 실험 자체를 몰랐단 입장이다. 무능이나 무관심은 죄는 아니지만 자리만 차지할 거면 내려놓는 게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