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 종합청렴도 4등급 ‘충격’
‘군수 부재’ ‘참조기양식산업센터 특혜’
‘160억 참조기양식센터’ 특혜 논란을 일으킨 영광군이 국민권익위원회 청렴도 조사에서 하위등급인 4등급을 받아 충격을 주고 있다.
19일 영광군과 국민권익위원회에 따르면 전국 716개 공공기관의 청렴 수준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한 ‘2024년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영광군은 지난해보다 2계단 하락한 4등급을 받았다. 영광군의회도 영광군과 같은 4등급을 받았다.
권익위의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는 공공기관의 행정서비스를 직접 경험한 국민, 내부 소속직원, 전문가‧업무관계자 등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와 해당 기관에서 발생한 부패 현황을 종합해 측정한다. 1~5등급으로 구분하고 4등급이면 사실상 미흡으로 판단한다. 권익위는 2018년 평가부터 기관별 점수는 공개하지 않고 있다.
영광군은 이번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낮은 등급인 4등급을 받았다. 지난해 2등급을 받았지만, 올해는 4등급으로 떨어졌다. 전남에서 22개 시군 가운데 4·5등급을 받은 곳은 곡성과 영암, 장흥(4등급), 무안, 함평(5등급)이다.
영광군은 올해 청렴 체감도 4등급을 비롯해 청렴 노력도 3등급, 부패실태 등으로 중하위 등급이 매겨졌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군청 내부 공직자가 평가하는 청렴 체감도가 하위등급인 4등급을 받았다는 점이다. 이는 영광군의 정책이나 인사 등에 내부 공무원들의 불신과 불만이 팽배한다는 방증이다.
대다수 군민도 이 같은 청렴도 하위등급을 받은 배경에는 대법원에서 직위 상실형에 따른 군수 부재와 160억 참조기양식센터 특혜 논란, 해상풍력 사업 허가 반대 시위 등의 영향이 크다고 분석했다.
영광읍 주민은 “군수 부재에 따른 공직기강 해이 등이 이번 청렴도 평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보성군이 3년 연속 1등급을 받았으며, 강진과 담양, 완도, 진도는 2등급을 유지했거나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