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과 한빛원전의 대오각성을 촉구한다
영광군의회가 한빛원전특별위원회를 열어 한빛 5호기 원자로헤드 반품과 교체를 요구하고 나서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 원전특위는 최근 한빛원전에서 발생한 ‘5호기 원자로 헤드 제어봉 구동장치 오메가씰 누설’ ‘SKF사 모조품 베어링 납품·사용’ 등의 논의하고 책임규명과 재발 방지, 세수손실 대책 등을 촉구했다.
원자로헤드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원자로 상부에 있는 구조물로 원자로 내부의 연료와 제어봉을 밀폐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부품이다.
고온과 고압의 냉각제가 누출되지 않도록 원자로 압력용기를 완전히 밀폐하는 기능과 역할을 담당한다. 원자로헤드에는 제어봉이 들어가고 나올 수 있는 관통부가 있어 원자로의 출력을 조절하고 있다. 이처럼 원자로헤드는 원전운영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원자력 안전의 핵심 부품이다.
이에 원자로 정기 점검 시 원자로를 정지시키고 연료를 교체하거나 노심을 점검할 때 헤드를 분리하고 있으며 장기간 운전 시 부식이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검사하고 필요의 경우 부품을 교체하고 있다.
이번 한빛 5호기 원자로 헤드는 수년 전 구멍이 발생해 붕산수가 누설이 발견되어 수리 과정을 거치다가 새로운 헤드 교체를 결정해 새로 제작해 교체 작업 중에 또다시 구멍이 발견되는 어처구니없는 사건 때문에 비난이 증폭하고 있다.
지난 7월 한빛원전환경·안전감시위원회도 원자로 헤드 누설문제에 대해 신품으로 교체할 것과 제작 잘못에 따른 책임규명을 요구했다.
원전특위와 감시위원회의 주장과 요구는 안전성을 우선으로 하는 우리들의 기본적인 권리이다. 그동안 한빛원전에서 발생한 각종 사고와 고장은 모두가 인재이다. 관리기능 부족과 안전 불감증의 만연에서 비롯됐다.
최근 산자부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안)’ 주민설명회도 무산됐다. 지역민들과 충분한 소통과정을 무시한 채 자신들의 행위만을 위한 설명회는 무산되어 마땅하다. 정부가 추진하는 고준위폐기물 영구처분장이 언제 어떻게 만들어질지 알 수 없는 현시점에서 발전소 부지 내에 임시보관 시설을 쉽사리 찬성할 주민들이 있을 수 있는지 묻고 싶다. 특별법에 따른 시행령을 만들기 위해서 먼저 지역민들이 공감하는 안전대책과 지원대책을 제시해야 한다. 한수원의 원자로헤드 교체 과정을 들여다볼 때 안전성 의구심 역시 확대되고 있다. 안전 불감증에 빠져있는 한수원과 한빛원전 관계자들의 대오각성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