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민들 합의와 동의가 우선이다
한빛원전 2호기에서 또다시 보조계통수 누설이 발생해 원전 안전 가동에 빨간불이 켜졌다.
지난 8일 오후 한빛 2호기의 화학체적제어계통 밸브에서 원자로 보조계통수 3,600리터가량이 누설됐다.
원전의 화학적제어계통의 주요기능은 중성자를 흡수해 원자로의 출력을 조절하는 붕산농도를 조절하고, 원자로와 배관 및 연료봉의 부식을 방지하는 냉각수의 수질을 유지하는 중요한 시설이다.
원전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붕산을 더 많이 넣어 중성자 흡수를 높이고, 출력 증가는 붕산농도를 감소하여 반응률을 증가시키고 있다.
원전의 화학체적제어계통은 정비 기간에 냉각수를 완전히 정화하고 화학적 조정을 재성절하여 가동에 돌입한다,
한빛 2호기는 지난 5월 17일부터 60일의 계획예방정비 기간 동안 원전 연료 교체 및 증기발생기 전열관 정비, 저압터빈 분해정비 등 각종 기기정비를 마치고 7월 16일 발전을 재개하였다. 2호기는 지난 6월 14일 황산 누출 사고가 발생한 데 이어 계획예방정비를 마친 지 한 달도 안 돼 냉각수 누출 사고가 발생해 한빛원전 안전 대책에 지역민들의 우려는 커지고 있다.
더구나 현재 한빛원전 1, 2호기는 수명연장을 위한 심사가 진행 중이다. 1호기는 1986년에 2호기는 1987년에 상업 운전을 시작하여 40년 설계수명에 다다랐다.
한수원은 1·2호기를 10년 더 가동하기 위해 계속 운전을 위한 승인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정부는 승인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와중에 잦은 문제가 발생하자 주민들은 안전 대책은 무시한 채 추진하고 있는 수명연장을 당장 중지하란 지적이다. 지역민들에게 수명연장 동의를 구하고 대책을 확인한 뒤 진행하는 것이 순서란 의미다.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안전사고 해결책을 제시하고 이행 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또 다른 현안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특별법에 따른 시행령 제정 문제도 지역민을 무시한 일방적 추진에 영광군민들은 분노하고 있다. 앞서 지난달 31일 시행령 주민설명회도 지역민들의 반발로 무산됐었다.
군민들은 한빛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 시설에도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소통과 합의 절차를 무시한 일방적인 진행은 독재정권에서나 가능한 행위임을 유의해야 한다. 원전 안전 운영은 충분한 안전 대책을 구축하여 지역민이 공감하고 동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