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빛 바람연금이 만드는 미래 ④
영광군이 전국 지자체 최초로 광풍 연금이 만드는 미래! 영광형 기본소득의 도전과 실험에 나선다. 햇빛 바람연금이 만드는 미래를 주제로 연재 기획 4편을 게재한다. <편집자 주>
‘연금도시’ 영광군의 완성
에너지 도시 도약, 인프라부터 교육까지
영광군은 이제는 단순한 풍력 발전의 거점이 아니다. 영광군이 지향하는 미래는 ‘에너지 산업도시’이자 ‘연금도시’다. 햇빛과 바람에서 시작된 발전 수익이 군민 개인의 소득을 넘어 지역 전체의 산업·교육·재정 구조를 재편하고 있다. 영광형 기본소득의 안정적 지속을 위한 조건은 결국 산업 생태계 전환이라는 점에서, 인프라 구축부터 인재 양성까지 전방위적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다.
영광군은 2025년부터 2032년까지 ‘해상풍력 배후항만 및 지역산업 연계 기본계획’을 추진하며 기반 인프라 조성에 나서고 있다. 이 계획에는 해상풍력 전용 항만 확보, 접안시설과 송전·변전 인프라 구축, 기자재와 부품업체 유치, 운영·유지보수(O\&M) 전문센터 설립 등이 포함된다. 특히 전력 송출의 핵심인 송·변전 인프라는 이미 한계에 도달했다. 영광군은 기존 154kV급 설비로는 11GW 규모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송출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한국전력공사에 345kV급 국가 송전망 구축을 정식 요청했다. 또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전 전용 송전망을 공동 활용하는 방안도 병행 제안한 상태다.
에너지산업 고도화는 고용과 기업, 교육 분야의 전환을 동반한다. 영광군은 O&M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교육 과정을 개설하고, 고졸과 청년층 대상의 특화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 앞으로는 전문대학, 기술교육센터와 연계한 교육 생태계를 구축해 지역 인재의 정착과 역량 강화를 동시에 꾀할 계획이다. 기업 측면에서도 중장기적으로 풍력 부품 및 유지보수 산업에 지역 기업이 30% 이상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대기업 협력사와의 연계를 통한 지역 상생 클러스터 유치를 병행 추진하고 있다.
지방 재정 측면에서는 발전사업자 기부금, 송전선 임대료, 공유수면 사용료 등 다양한 재원을 지방세외수입으로 확보하고 있다. 영광군은 이를 자체 에너지 기금으로 운용해 정책의 지속성과 재정 자립도를 동시에 높이고자 한다. 이는 단순히 발전소만 운영하는 구조가 아닌, 지역의 순환경제 체계를 구축하려는 전략적 접근이다.
한편 영광군은 민간 주도의 대규모 해상풍력 외에도 공공이 주도하는 재생에너지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마을 단위 태양광 발전소가 대표적이다. 2025년에는 20k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15개소를 시범 설치할 계획으로, 군이 설치비의 50%를 보조하고 나머지는 마을 기금이나 대출을 통해 마련한다. 예상되는 순수익은 연간 130만원 이상으로, 마을 공동기금이나 공공목적에 활용된다. 이 외에도 군유지나 공유수면을 활용한 대규모 태양광 발전단지를 조성해 주민참여제와 연계, 주민 소득과 군 재정 모두를 아우르는 수익 모델을 구현할 예정이다.
영광군의 이 같은 노력은 지방정부가 독자적으로 정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인프라부터 산업, 고용, 교육, 재정에 이르기까지 모든 정책이 연계되고, 그 중심에 ‘에너지 소득’이라는 자립적 자원이 존재한다. 영광은 기후위기와 지방소멸이라는 두 가지 위기에 대응하며, 동시에 지역 복지와 산업 재편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시범 도시로서 새로운 길을 열고 있다.
지금 대한민국의 미래는 이 조용한 해안 도시의 풍력 터빈에서 돌고 있다. 지방은 이제는 약자가 아니다. 햇빛과 바람이라는 자원을 보유한 주체로서, 스스로 정책을 설계하고 소득을 창출하며 중앙 없이도 미래를 준비할 수 있다는 증거가 바로 영광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