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민들은 전 군수 때 추진된 사업중 600억원 법성항 매립사업과 170억원 백수해수온천랜드, 30억원 묘량효동문화역사마을 등을 대표적 실패 사례로 지적하지만 책임진 자가 없다.

지방자치단체 사업의 성공과 실패 여부는 얼마나 치밀하고 세부 검토를 통해 사업을 추진 했느냐에서 갈린다. 그동안 군이 사업을 위해 추진한 각종 용역조사 결과에서 안 된다는 결론을 본적이 없는데도 왜 실패하는 것 일까? 그것은 사업 추진 전제하에 타당성 조사와 기본조사, 실시설계 용역을 끼워 맞췄기 때문이다.

또한, 군이 수차례 용역을 통해 영광매일시장 활성화를 위해 직·간접적으로 투입한 예산도 100억원대를 육박한다. 시장 이용객을 위해 만든 주차장은 동네 주민들 차로 꽉 찼고, 시장현대화 사업으로 시설만 개선됐지 손님이 늘었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이제는 하다하다 안되니 12억원을 투입해 음식촌을 만들어 시장을 활성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시장 인근에 향토음식촌을 만들고 그곳에 식재료를 독점 납품하는 시스템으로 운영하면 유동인구가 늘어나 시장도 활성화될 것이란 기대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외지 관광객을 불러오기에 특색 있는 음식이 없고, 지역민을 고객으로 하자면 이미 포화상태인 기존 음식점들과의 경쟁관계만 유발한다는 우려이다.

특히, 용역결과처럼 음식촌 주 타깃이 주간에는 학생들이나 관공서 방문객, 야간에는 저녁식사나 술을 마시러온 30~60대 직장인들이라면 과연 이들이 시장 물건을 구입할 구매력이 있는지도 의문이다. 때문에 음식촌 활성화와 시장 활성화의 상관관계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

물론 침체된 시장을 살리기 위해 무엇인들 해보고자 하는 마음을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핵심은 문제의 본질을 벗어났다는 느낌이다.

매일시장의 쇄락은 인구감소와 군내버스 이전으로 인한 유동인구 감소, 대형마트를 선호하는 소비성향 등이 원인이다. 여기에 상품구색이 다양하지 못하고 제품의 신선도마저 떨어진데다 일부 상인들의 불친절까지 겹치는 악순환은 더 큰 문제다.

행정과 시장측은 본질적 문제 해결 노력보다는 자꾸 엉뚱한 해법을 찾고자 한다. 때문에 군의회의 부정적 의견과 이번에 지적 노출된 문제를 감안하고도 향토음식촌 성공과 실패 책임을 담보할 수 있다는 전제라면 사업을 추진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