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 공무원 4명중 1명은 계장

영광군을 비롯해 어느 기관이던지 효율적인 인력관리는 그 지역 발전과 직결되는 문제다.

업무에 따른 인력배정이 적절치 못하면 과도한 업무부담을 지게 되고 결국은 기피부서라는 부작용을 낳는다. 기피부서를 외면하고 선호부서만을 찾기 위한 꼼수는 심한 경우 인사청탁이나 부정부패로 이어지기도 한다. 최근 영광군이 기피부서 지원자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직위공모제를 시행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대부분의 부서가 그렇겠지만 업무에 비해 인력이 부족하단 하소연이 없는 곳은 드물다. 사회복지 증대에 따른 필요 수요와 요구 서비스는 매년 늘어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서비스 인력 확충은 한정됐기 때문이다.

영광군도 이미 전체 인건비 한도 내에서 인력을 사용할 수 있는 총액인건비 제한 때문에 더 이상 공무원을 늘릴 수 없는 상황이다.

중앙정부가 적정하다고 판단하는 인건비를 사용하면서도 인력이 부족하다는 것은 누군가 인건비를 너무 많이 받거나 제 일을 못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일부 지자체들이 그렇듯 업무능력 보다는 정치적 인맥을 통한 인력 충원도 조직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특히, 영광군은 전체 직원 688명중 정식 직원은 587명이다. 이중 계장으로 불리는 6급 담당급 공무원은 145명(24.7%)으로 4명중 1명꼴에 달한다. 부서별 담당자리가 128개인 것을 감안하면 17명이 보직 없이 일하고 있는 인사적체 상황이다.

더구나 이들 담당 공무원들은 말단에서 시작해 6급까지 승진하면서 수많은 업무경험과 노하우를 쌓아 조직에서 가장 중추적인 업무를 추진할 인력으로 분류되고 있다.

하지만, 담당급 공무원들 상당수가 업무분장을 받고도 맡은 일을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하급 직원과의 업무협의를 결재권한으로 인식하는 과거 관행도 남아있다는 지적이다.

과도한 업무로 인한 기피부서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방안이 효율적 조직 관리로 꼽히는 이유다.

이에 군은 공무원노동조합 등의 요구 등에 따라 6급 모두에게 사무를 분장하고 노조는 이들의 업무실적까지 파악하면서 일 안하는 6급 관행은 대폭 개선됐다는 평가다.

영광군 한 관계자는 “담당들이 결재만 한다면 인력의 4분의1이 손실인 셈이다”며 “인력을 늘릴 수 없는 상황에서 6급의 역할은 그 만큼 중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