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을 사이에 두고 군산과 서천이 상반된 시각으로 갈등을 겪고 있다. 서천 장항의 경우 일제 강점기엔 국내 생산물자의 송출 항구로서 서해안의 대표적 무역항이었다.

장항이 내리막길로 향한 것은 1980년대 즈음, 금강 물줄기를 가둔 하굿둑 건설로 항구 기능이 상실되고, 국가산업단지마저 무산되면서 지역은 황폐화되기 시작했다.

장항 앞바다는 토사 퇴적물이 1년에 20㎝ 이상 쌓여 국제항인 장항항이 사실상 문을 닫은 상태다.

1990년 하굿둑이 들어선 이후 물길이 끊기면서,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 형성되는 기수역(汽水域)이 막혀 다양한 생물자원의 보고도 사라졌다.

서천에서는 둑을 터야 생태계와 사람이 산다면서 개방을 요구하고 있지만 군산에서는 용수 확보와 침수피해 등을 이유로 해수유통에 반대하고 있다.

이제 서천은 개발과 매립에서 환경으로, 산업도시에서 생태도시로의 결단을 내리고, 장항 부활을 위해 지속가능한 환경보전을 택했다.

이 같은 현실은 남의 일만이 아니다. 영광 법성포항이 인공 매립사업으로 항구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고 있다고 한다.

군이 개최한 ‘법성항 매몰저감방안계획수립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법성항 갯벌 퇴적 매몰 원인이 현 뉴타운으로 불리는 법성포 앞바다의 매립사업이라고 밝혔다.

본지와 지역환경단체에서 법성항 매립사업의 문제점을 제기할 때 군이 99년에 제시한 수치모형실험보고서의 ‘매몰량 연간 10cm 수준’과 2001년 환경영향평가서의 ‘매립 사업후 퇴적 영향은 적을 것’ 이란 주장은 결국 허구로 결론 난 셈이다.

실제 법성항 갯벌 퇴적은 물량장 부근과 와탄천 상류 쪽인 법성3교 수로 입구 등에서 공사전보다 무려 4m 넘게 진행되어, 연간 50cm 이상이 퇴적되었다.

이로 인해 무려 600억 원대의 예산을 들인 법성항 물량장은 부두기능을 상실했으며, 100억여 원을 투입한 50m 폭의 수로도 기능을 완전히 상실한 상태이다.

본지를 비롯한 환경단체의 반대 주장이 현실로 나타났는데, 당시 공무원이나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을 예측하지 못했을까 하는 의문이다.

이 같은 불합리는 이성적 주장보다는 힘을 가진 자들의 정치 논리에서 출발되는 모순 때문이다. 상식적으로 문제가 있는 데도 높으신 분들이 결정하면 밀어붙이기식 사업 추진은 더 이상 용납해선 안 된다. 이제 군민들이 법성항매몰대책위원회라도 구성해 법성항 매립의 주범과 종범은 누구이고 무엇이 잘못되었고 무엇을 반성해야하는지 찾아 나서야 할 판국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