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열이 발견된 영광원전 3호기 제어봉 안내관을 용접해 사용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안전성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한수원은 균열 정비 방법으로 원자력안전위원회에 덧씌움 보강용접을 제시했다. 이는 균열 부위의 표면을 매끈하게 갈고 기계를 이용해 그 주변까지 덧씌우는 용접 방법이다. 원안위는 이 방식의 안전성을 검토해 결정할 예정이지만 승인될 것이란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이에 지역 환경단체는 미국에서 같은 재질(인코넬600)로 제작한 원전에서 같은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며 원자로헤드를 전면 교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문제에 영광원전 민·관대책위가 9일 4차 회의를 열고 3호기 용접수리 방식에 대해 따지자 정부와 한수원은 지역 동의를 받은 뒤 원안위 승인을 받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역 동의란 지난 5․6호기 위조부품사건이 터지면서 영광군의회가 지역사회단체들을 소집해 긴급하게 구성한 ‘영광원전 범 군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의 동의를 말한다. 이를 위해 범대위는 정부와 함께 ‘민관합동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대책위 측 1차 회의에서 영광원전 안전성 현안에 대해 1-6호기 냉각재 압력경계 건전성조사와 3호기 원자로헤드 관통관 결함, 품질보증서 위조 대상 전수조사, 시험성적서 위조부품 주요기기 안전등급 부품조사 등을 합의했었다. 지난 2일까지 5․6호기 미검증 부품조사는 마무리하고 이제 3호기 안내관 균열 조사에 들어갈 중대 시점이다.

그런데 난데없이 군의회가 범대위에서 빠지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그 의도가 무엇인지 의문이다. 나승만 의장과 김양모 원전특위원장은 5․6호기 문제는 전주곡이며 3․4호기 안전성 문제가 최대 현안이라고 반복 강조해 놓고 이제 와서 판을 깨겠다니 저의가 의심스럽다.

그간의 원전 문제에서 영광이 연패한 연유를 분석 해보면, 한수원의 물밑 작업에 승부가 판가름 난 과거 사건들이 새삼 떠오른다.

군의원의 신분과 역할은 주민을 대표해서 지역의 현안 문제들을 해결하라는 것이다. 현 시점의 영광원전 문제는 지역민의 생명줄이 걸린 안전성을 국제적 수준으로 검증하는 게 과제이다. 활동과정에 받은 비난과 질타 등 고초를 모르는바 아니지만, 어찌 군민들의 여망을 저버리고 원전 안전성 문제에서 물러서겠다는 것인지 심히 우려되는 판단 착오로 보인다. 군의회가 시작한 이번 원전 문제 해결에 물러섬 없는 용기 있는 결단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