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원전의 새로운 명칭을 공모한다. 그동안 하루가 멀다 하고 터지는 영광원전 사고와 사건들 때문에 지역이 당하는 유무형의 피해는 막심했다. 지역명칭이 들어 있는 ‘영광원전’ 명칭 변경은 그간 수차례 건의하기도 했으나 외면 됐다. 그러다 지난해 터진 검증서 위조부품 사건 여파로 김황식 총리와 홍석우 지경부 장관 방문 등 정부 관심도 커지면서 정식으로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제 영광원전이라는 명칭은 변경된다. 그러나 이름만 바꾼다고 영광원전과 관련된 많은 문제점들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극히 제한적인 사안이다.

최근 검찰이 발표한 영광원전 직원들의 범죄 행각은 정도를 넘어선 비리 백화점이었다. 납품업체는 품질보증서를 위조하고, 원전 직원들은 자재를 빼돌린 뒤 이를 재구매하거나 담합 입찰을 눈감아 준 대가로 금품을 챙기고, 납품회사 주식 투자 차익, 동호회 협찬 등 이들의 도덕적 해이는 극에 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노출된 영광원전 직원들의 행위를 두고 일부 주민들은 빙산의 일각이라고 주장한다.

국책사업이라는 명목으로 자행하고 있는 문제점들이 아직도 산적해 있다는 설명이다.

이 같은 도덕적 해이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점은 일부 지역민들도 전염되고 있다는 느낌이다. 홍농에 위치한 ‘한마음공원’의 관리를 둘러싸고 수천만원의 관리비를 빼돌린 혐의가 포착되어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지난 2004년 홍농읍 성산리 영광원전 인근 10만평 부지에 조성된 한마음공원의 관리권이 2005년 지역민들에게 이관되면서 연간 7억5,000만원 상당의 관리비가 지원됐다. 투명해야 할 관리비가 새나가는데 다른 연관성은 없는지 철저하게 수사해야 한다.

여기에 영광원전 인근에 원전사업비로 추진하고 있는 ‘테마식물원 조성사업’도 새로운 골칫거리가 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달 열린 중간용역보고회에서 특별한 아이템도 없고 운영적자까지 예상된다는 사실에 주민들은 아연하고 있다.

총사업비 150억원을 투입하고도 적자운영에 지역경제에 보탬이 없다면 확실한 주민소득 향상 전략을 더욱 연구해야 할 시점이다. 이번 기회에 영광원전 가동이 완전히 마감되는 20~30여년 뒤의 발전소 주변지역 활용 대책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도 지혜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