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국회에서 핵 없는 세상 광주전남행동' 등 환경운동연합과 일부 국회의원들이 영광과 고리원전 사고피해 모의실험의 충격적인 결과를 발표해 관심을 모았다.

영광에서 원전 사고이후 서울로 바람(북풍)이 불어 피난을 하지 않으면 대사고시 암 사망이 약 33천명, 경제적 피해액은 약 17조원이라는 분석이다. 거대사고 시 암 사망이 약 55만명, 경제적 피해액은 약 267조원이 된다.

광주 쪽으로 바람(서풍)이 부는 경우, 대사고시 암 사망이 29천명, 경제적 피해액은 약 25조원이며, 거대사고 시 암 사망이 397천명, 경제적 피해액은 약 210조원에 이른다.

피난을 하면 급성 장애나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만발성 장애의 발생수를 줄일 수 있지만 순식간에 발생하는 사고의 경우 방사성 물질로 인한 피폭을 피할 수 없어서 암 발생률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분석을 두고 오류 지적 등 논란이 있었지만 원전사고 발생 시 주변지역은 물론 인근 대도시까지 피해는 불가피하다.

이 때문에 원전의 안전관리는 영광군민들의 생명을 담보하는 중차대한 사안인 것이다.

그 동안 원전에서 발생한 각종 사고와 고장에서 원전 관계자들은 앵무새처럼 안전하다는 답변을 쏟아냈었다. 그러나 최근 원전을 깊이 들여다보면 과연 믿고 살아갈 수 있는지 의문이다.

현재 영광에서는 영광원전범군민대책위원회가 결성되어 원전의 안전성 조사 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 품질검증서를 위조한 불량 부품을 쓴 5·6호기가 가동을 중단하면서 군민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던져주었다. 또한 3호기의 제어봉 안내관 균열이 발견되면서 영광원전의 안전성 조사에 군민들이 직접 나서게 된 것이다.

한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제출한 덧씌움 용접 수리 방식이 타당한지, 안전성에는 이상이 없는지 국내전문가는 물론 독일의 전문기관에 용역까지 의뢰했다. 오는 3일 주민설명회를 개최해 3호기의 안전성 검토를 마무리하고 가동 합의여부를 판단할 방침이다.

그런데 최근 시험성적서 위조 부품 제어케이블을 사용한 신고리 2호기와 신월성 1호기가 갑자기 가동을 중단해 올 여름 전력수급에 비상이 걸리자 그 여파가 한빛 3호기로 쏠리고 있다.

2기의 원전 가동중지로 인한 전력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3호기의 가동이 절실한 정부와 한수원의 입장은 이해한다. 그러나 3호기의 가동은 명확한 안전성 검토가 끝나는 시점이어야 한다. 조금 힘들더라도 조금 늦더라도 신뢰를 바탕으로 한 가동결정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