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희/ 홍농읍 주민자치위원회

우리나라의 교역량이 5년만에 1조달러에 미달되어 앞으로 우리경제가 참으로 불투명한 상황이다. 특히 20141982억 달러보다 12.2%가 줄어든 수치라고 산자부는 집계하고 있다. 사실 2011년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1조달러 클럽에 당당히 진출한지 4년만의 일이다.

무엇보다 글로벌 경기둔화와 계속적인 유가하락의 외풍이 워낙 거센 한해였기에 예년만 못한 성적을 무조건 국내 탓으로만 돌릴 사항은 결코 아닌 것 같다. 그런데 주요 수출국들이 하나같이 어려움을 겪는 와중에서도 우리경제는 프랑스를 제치고 세계6위의 수출국으로 한 단계 올라섰으니 그나마 선방했다고 할만하다.

그러나 그 내용을 들여다보면 걱정스러운 대목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수출과 수입이 동반 감소한 상황에서 수입이 수출보다 더 줄어든 추세가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최종 수출품 생산에서 필요한 원자재나 중간재 구매를 당초부터 줄일 정도로 우리경제의 대외 선순환 구조가 깨어진 반면 성장세 활력도 잃었다는 측면에서 보는 것이 마땅할 것 같다.

더욱이 지난해엔 월간 기준으로 단 한 차례도 빼놓지 않고 수출과 수입이 하나같이 감소했고 특히 수입은 1년내내 두자리수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러다보니 사상 최대규모(904억달러)의 무역수지 흑자 기록도 빛 좋은 개살구에 그치기 십상이었다. 그러기에 문제는 새해의 무역환경 역시 더욱 불투명 하다는데 있다.

특히 지난 연말 배럴당 30달러선까지 떨어진 국제유가는 그 하락세를 계속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미국이 40년만에 원유 수출을 재개하는데다 이란마저 핵 타결이후 원유 수출에 나서는 등 공급과잉이 사실상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중국의 경기 둔화마저 더욱 심해질 경우 조선,석유화학,철강 등 우리나라의 중요 수출 품목은 올해도 고전을 면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무엇보다 대외 의존도가 매우 높은 우리경제 특성상 뭐니 뭐니 해도 국가 경영의 큰 방향을 좌우 하는 건 역시 수출이다. 내수는 어디까지나 경기 진폭을 줄여주는 완충지대 역할에 그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정부가 수출시장 다변화 등에 힘써야 함은 물론 어쩌면 결국 기업들 스스로 새로운 제품 개발과 기술의 경쟁력 자체를 확보하는 근본적인 체질개선에 나서는 과감한 결단만이 오직 살길이라고 주장하는 바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