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 3·4호기 가동 중지가 장기화되고 있으나 부실공사의 후유증 정도가 워낙 깊어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다.

한빛 4호기는 지난 20175월 실시한 제16차 계획예방정비중 격납건물 내부철판 부식 및 관통과 콘크리트 구멍 등 안전성에 심각한 문제가 드러났다.

8월에 군민의 안전성을 주장하는 영광군범대위가 나서 기자회견을 열고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결의문을 청와대에 전달했다.

우여곡절 끝에 정부가 참여하여 주도하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그해 11월에 출범하여 20196월까지 20개월 동안 안전성조사를 실시했다.

그리고 10월에 최종보고회를 열어 그동안에 조사 결과를 군민들에게 보고하고 정부와 한수원에 문제점 해결에 대한 이행계획서 제출을 요청했다.

그러나 한수원은 약 5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이행계획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회신이 없는 상태에서 가동중지 기간이 3년째로 접어들고 있다.

한빛 3호기도 20185월 계획예방정비를 위해 멈췄다. 그러나 정비를 마친 뒤 누설시험 문제 발생 등 부실시공 문제까지 터지면서 2년째 가동이 중단된 상태이다.

이렇듯 3·4호기 가동이 중지되고 있는 주된 원인은 건설사의 부실시공과 한수원의 관리감독 부실 때문이란 지적이다.

최근 한수원은 3·4호기 격납건물 구조 건전성 평가를 자체적으로 실시한 결과 3호기는 통과하였으나 4호기는 일부 불만족으로 판명되었다.

4호기 상부돔 건전성 평가를 위한 검사방안에 대해서도 한수원은 계속적으로 말바꾸기와 변명으로 시간을 끌고 있다.

문제는 애당초 부실공사로 인한 구조 건전성에 문제가 발견되어 가동이 지연되고 있는데도 한수원에서는 영광군범대위가 가동을 방해하고 있는 것처럼 여론을 호도하고 있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안정성 조사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지 않는 이들과 일부 주민들이 이를 악용하고 있는데 심각성을 더한다.

영광군민들은 그동안 한빛원전으로 인해 무수한 사고와 고장을 지켜보았다. 그때마다 재발방지를 약속하고 제시한 이행대책은 면피용이었다.

3·4호기 악순환의 출발점은 건설당시에 있다. 이제는 부실공사를 방관한 한수원과 기타 협력기관들까지 책임을 규명해 내야 한다.

건설 당시의 부실시공으로 인한 후유증으로 가동이 중단되고 가동중단으로 인한 영광군의 피해액이 500여억원이 넘어서고 있다.

불안한 3·4호기 가동 주장보다는 부실시공과 감독부실 책임 규명이 우선임을 재인식해야 한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