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진 광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철진/ 광신대학교 복지상담융합학부 교수
김철진/ 광신대학교 복지상담융합학부 교수

스웨덴 총리 중에 타게 에를란데르(Tage Erlander)라는 사람이 있다. 그는 매주 목요일마다 정적(政敵)을 만났다. 정적은 재계 인사와 우파 정치인들이었다. 에를란데르는 스웨덴 복지국가의 완성자다. 45세에 총리에 올라 68세로 정치를 관두기(재임 기간 1946~69)까지 운동권 출신으로서 23년간 총리를 하면서 각계각층 인물들과 스스럼없이 만나 대화와 타협을 했다. 그의 정치는 스웨덴을 국민의 집(The people’s home)’으로 만드는 데 집중됐다. 이 기간 중 전 국민의료보험, 전 국민연금지급, 4주 휴가제, 9년간 무상교육, 100만 호 주택을 건설했다. 그의 이룸으로 국가는 국민의 안전한 보호처요 따뜻한 가정이 되었다. “그 집에선 누구도 특권의식을 느끼지 않으며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다는 게 국민의 집의 가훈이다. 에를란데르가 추구한 건 복지국가였다. 그는 경제를 일으키면서 복지에 투입할 돈을 댈 수 있는 자본가의 협조가 필요했다. 좌파 권력을 두려워하는 자본가 집단, 재계와 대화가 시작됐다.

그때 에를란데르의 초대장엔 난 목요일이 한가한데 일단 만나서 얘기합시다라고 쓰여 있었다. 그 뒤에 아예 목요일 저녁을 비워놓을 테니 함께 식사합시다라고 제안했다. 노사정, ··정 협의가 이어졌다. 스웨덴 현대사에서 목요 클럽은 아주 유명한 만찬 모임이다.목요 클럽은 지방에 있는 총리의 여름 별장에서, 스톡홀름의 특별한 고궁에서도 진행됐다. 파업 종식, 임금인상 중단 같은 노조의 협조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세금을 내는 재계의 결단도 목요 클럽에서 나왔다.

그는 11번 선거에서 승리했으나 권력의 절정에서 물러났다. 1969년 득표율 50%를 넘는 압승을 거두자 지금은 새 인물이 필요하다며 스스로 걸어 내려왔다. 꿈을 다 이뤘다는 것이다. 총리 사퇴 뒤 그가 들어가 살 집이 없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23년간 국민의 집을 만드는 데 성공했으나 자신의 집을 마련하지 못했다. 그는 총리 관저에서 공식 집무만 보고 임대주택에 거주했다. 막상 총리에서 퇴임하자 살 집이 없었다. 이를 안 국민들이 한적한 시골 마을에 별장을 지어주었다. 55년간 해로한 부인 아이나도 검소했다. 남편이 총리였지만 고등학교 화학교사를 계속했다. 그녀는 남편이 퇴임한 후 한 뭉치의 볼펜을 들고 총무 담당 장관을 찾아가 건네주었다. 볼펜에는 스웨덴 정부마크가 새겨져 있었다. 그녀는 남편이 총리 때 쓰던 볼펜인데 이제 정부에 돌려주는 것이 맞다고 했다.” 총리는 사민당이 청년 연수원 옆에 지어준 집에 살면서 당원들과 함께 지내다 84세에 숨졌다. 스웨덴 사람들은 그에게 국민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붙였다.

정치란 무엇인가? 정치가는 무엇을 해야 하나, 협치의 대가 타게 에를란데르(Tage Erlander)국민의 집(The people’s home)’ 햇빛을 볼 수 있는 시간은 하루 한두 시간뿐인 겨울 혹독한 겨울 끝에 찾아온 소중한 여름 그 시간조차 여름휴가 별장으로 사람들을 초대한 총리.. 학자, 언론인, 법률가, 환경운동가, 은행가, 상인, 농부, 그곳에 초대받지 못한 사람은 없었다. 23년간 멈추지 않았던 만남 그 사이 완전히 사라진 파업, 그 사이 완전히 달라진 국민들의 삶, 저주 받은 돌부리의 나라에서 세계에서 가장 잘 사는 나라로 세계에서 모든 국민이 다 함께 가장 잘 사는 나라를 만든 에를란데르, 그가 총리가 되면 경제 성장은 멈출 것이다. 재계는 절대로 협조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우리는 성장할 것이다. 그러나 다 함께 성장할 것이다. 사람들에게 돈을 풀자는 게 아니다. 사람들이 돈을 벌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 나는 돈보다 사람을 믿는다. 젊은 총리가 믿었던 사람들 아이를 돌봐야 하는 여성들 몸이 불편한 사람들 고등교육을 받지 못한 노동자들 그들에게 주어진 동등한 기회, 모든 아이는 모두의 아이, 아동수당연금, 환자에서 시민으로, 전국민 무상의료보험, 언제라도 다시 시작할 수 있는 배움, 초등학교에서 대학원 박사과정까지 무상교육을 실시하는 나라, 삶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집이어서 주택수당법, 육아, 의료, 교육, 주거 그런 문제가 사람들의 발목을 잡지 않아야 한 개인이 한 나라가 최대한 성장할 수 있다며 목요일마다 한 걸음씩 나아간 노사정합의이해관계가 다른 사람들을 끊임없이 한자리에 불러 모았던 소통민주주의모두가 수긍할 때까지 끝장토론 합의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국민에게 공개하고 국민 모두를 상대로 한 수십 년의 설득하여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세금을 내는 나라, 그 나라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지갑을 열게 한 것! “세금을 늘리는 게 아니다. 모든 국민의 소득을 늘리는 것이다.” 모든 국민이 다 함께 잘 살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준 스웨덴 국민의 아버지가 민선 8기 출범과 함께 우리에게 교훈하는 무언가가 있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