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일순 사진가·수필가

곽일순 사진가·수필가 
곽일순 사진가·수필가 

우리 지역엔 공공미술관이 없다는 사실은 이미 몇 번 거론한 내용이다. 대부분 예술의 전당이 완공되면서 이러한 예술 기반시설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착각을 하고 있다. 그만큼 지역의 예술 관련 감각은 무디어져 있다. 주위의 시·군이 모두 갖추고 있는 시설을 우리만 아직도 애타게 갈구하고 있는 셈이다. 미술관은 고사하고 지역의 역사박물관 혹은 문학관 한 칸 없는 현실이지만 이를 심각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 안타까운 현실에 목마르고 애타는 부류는 시각예술을 하는 사람들뿐이다. 주위의 타 시·군에서 아주 잘 돌아가고 있는 문예 프로그램들을 우리 지역의 주민들은 거의 알지 못한다. 그만큼 문예의 활동은 저변에서 자기들만의 리그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말이 된다. 기반시설이 없으니 당연한 결과임에도 이러한 현상을 문예인에게만 책임을 돌리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실제 모 군의원은 기반시설 미비 관련 호소에 지역 문예인들의 활동이 저조해서 기반시설이 지어질 명분을 찾을 수 없다.”라는 충격적인 발언을 하기도 했다. 전혀 지역의 현실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다시 말하지만 우리 영광군의 문예활동은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은 편이다. 아직 군세가 큰 편이다 보니 숫자가 많고 수준 역시 결코 후달리지 않는다. 다만 시설의 후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눈에 띄는활동이 부족할 뿐이다. 특히 정통성을 발휘하는 문예와 사진단체 등은 30년 이상을 굳건하게 자리를 지키며 영광의 문화를 선도하고 있다. 하지만 젯밥에만 관심을 보이는 각종 장르의 동아리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하며 그나마 정통성을 유지해 오던 단체들마저 숨길이 막히고 있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불과 몇 년 전부터 조금씩 주어지기 시작한 동아리 보조사업 등에 보이는 관심 이상도 이하도 아닌 단체의 새로운 태동은 그나마 불안정한 뿌리를 말리고 있다. 지방자치제 삼십 년이 넘었지만, 영광군수 공약에 문예가 정식으로 똬리를 틀고 자리를 잡은 게 이번이 처음이다. 물론 약간씩의 양념 요소로 등장을 하긴 했지만, 형식적이라는 비난을 벗어나진 못했던 게 사실이다. 어쩌면 영광군의 문예 사업은 이제 시작인 셈이다. 그런데 몇 푼의 동아리 보조사업 정도에 머무는 관심이라니, 눈을 떴으되 앞을 보지 못하는 행태이다. 영광군의 현실에서 문예를 위해 가장 시급한 사안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우선 시급한 게 몇 푼의 보조가 아니라 문예 기반시설이라는 것을 절실히 느끼고 깨달아 강한 시그널을 보내고 주장을 해야 하는 게 맞다. 그렇다면 문학관과 공공미술관이 최우선이 된다. 주위의 시·군에서 이루어지는 사업을 보면 이를 모두 품을 수 있는 시설은 문화복합센터인 셈이다. 문예의 광장이 사람을 모으는 것에서 출발한다면 당연히 복합센터가 답이다. 당장 우리 지역의 이웃 지자체를 돌아봐도 모두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다. 특히 영광군 문예인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시각예술인을 위한 공간이 전혀 없다는 데에서 문제점은 심각하다. 공연을 위한 예술의전당이 세워졌으니 이젠 공공미술관이 세워져야 한다는 주장은 그래서 당연하다. 광주를 비롯한 중앙의 수도권에서 쇄도하는 전시 요청을 장소의 문제로 주저해야 하는 현실이 너무 답답하고 싫고 슬프다. 공공미술관과 문학관을 품은 복합센터가 주위에서 영광군에만 없다는 사실을 우리 지역민은 얼마나 알고 있는지 궁금하다. 미술관은 공공과 사립으로 구분이 된다. 공공은 군립이나 도립, 시립 등을 말하며 사립은 말 그대로 개인이나 법인이 운영하는 곳이다. 인가를 받지 못한 미술관의 전시는 개인 이력으로만 남을 뿐 공적인 이력을 얻지 못한다. 사립 역시 사립미술관에 정식 등록을 해야만 전시 이력을 인정받는다. 그래서 각 시군에선 공립미술관을 먼저 지어 중견 작가들을 초대한다. 이젠 우리 군민에게도 시각예술의 맛을 느끼게 해줘야 하지 않을까. 새 군수에게 문예의 진흥을 기대하는 이유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