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세의 달인들-한명회(1)

중국에 이사가 있다면, 조선에는 한명회가 있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사람, ‘칠삭둥이한명회(韓明澮, 1415~1487)는 과연 누구인가? 그는 조선의 개국공신 한상질의 손자이며, 사헌부 감찰(6품 관직)을 지낸 한기의 아들이다. 모친인 여주 이씨 부인이 수태된 지 7개월 만에 태어났다 하여, ‘칠삭둥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일찍이 부모를 여읜 한명회는 한학(漢學)을 배우긴 하였으되, 불행한 가정 환경과 가난, 작은 체구로 말미암아 주변의 멸시와 놀림을 받으며 불우한 소년기를 보냈다. 다만 어려서부터 기억력이 좋고 민첩하여, 그의 종조 할아버지(할아버지의 형제) 한상덕 같은 사람은 그를 가리켜 집안의 천리마가 될 것이라 예견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한명회는 어려서부터 사귄 친구 권람(權擥, 횡포 및 축재로 여러 번 탄핵) 등과 어울려 풍류를 즐기다가 그의 소개로 신숙주를 알게 되었다. 주지하다시피, 신숙주는 세종대왕을 도와 훈민정음의 창제에도 참여하였지만, 수양대군(세조)의 즉위 과정에 가담함으로써 이후 요직을 두루 거치는 등 사육신(死六臣)과 뚜렷이 구별되는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어떻든 신숙주로부터 수양대군을 소개받은 한명회는 수양대군이 비범한 인물임을 알아본 후 그와 가깝게 지내는 동안, 그의 사람 됨됨이를 더욱 세밀하게 살펴보았다. 그리고 과거 시험으로는 도저히 관직에 나아갈 수 없다고 판단한 한명회는 수양대군을 찾아가 거사를 논의하였고, 수양대군의 책사((策士, 꾀를 써서 일이 잘 이루어지게 하는 사람)로서 자신의 능력을 유감없이 발휘하게 된다. 경덕궁지기로 있을 때 그는 무사 30여 명을 수양대군에게 적극 천거하였고, 수양대군은 이들의 인맥을 통해 거사를 일으킬 병력을 모으게 된다.

일찍이 세종의 뒤를 이은 병약한 왕 문종은 자신의 단명(短命)을 예견하고, 영의정 황보 인, 우의정 김종서 등에게 자기가 죽은 뒤 어린 왕세자(후에 단종)가 등극하였을 때, 그를 잘 보필할 것을 부탁하였다. 그러나 수양대군은 1453, 김종서 집을 습격하여 그와 그의 아들을 죽이고 만다. 이 계유정난의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사람이 바로 한명회이다.

그는 신하들의 성향과 능력, 수양대군에 대한 지지, 설득의 가능성 여부 등을 파악하여 이른바 살생부(殺生簿)를 작성하였고, 결국 이것이 조정 대신들의 삶과 죽음을 갈라놓기도 했다. 이후 살생부는 숙청과 제거, 인사 배치의 대명사로 널리 통용되었다. 어떻든 한명회는 수양대군의 집권에 큰 공을 세워 정난공신 1등관이 되었다. 그 후, 수양대군이 영의정부사가 되면서 동부승지(3품 관직)로 승진하였고, 수양대군이 단종의 양위를 받아 조선 국왕(세조)으로 즉위하자 좌부승지에 동덕좌익공신이 되었다가 곧이어 우승지(3품 당상관)에 올랐다.

그러던 어느 날, 성삼문(충신의 대명사)과 집현전 학사들이 세조 3부자(父子)를 연회장에서 암살할 계획이라는 정보를 입수한 한명회는 연회장에 별운검(別雲劍:칼을 차고 임금의 좌우에 서서 호위하는 벼슬아치)으로 임명된 성승, 유응부, 하위지의 출입을 차단함으로써 위기를 넘긴다. 곧이어 공모에 가담한 김질이 장인인 정창손의 설득으로 거사의 가담자들을 폭로하기에 이르렀다. 이로 인하여 성삼문, 하위지, 유응부 등은 체포되어 국문(鞠問)을 받은 후 처형되었고, 800여 명의 관련자들 역시 처형되었으며, 수천 명이 유배되었다. 이른바 사육신(死六臣)의 난을 진압한 공로로 한명회는 좌승지를 거쳐 도승지(왕의 비서실장 격), 이조판서(2)로 승진해간다.-다음호에 한명회(2) (영광백수 출신, 광주교대 명예교수, 철학박사, 최근 저서고집불통 철학자들중에서)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