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FTA 문제로 전국이 뜨겁다.
이렇게 모든 농 관련 단체가 사생결단을 하고 나서는데 왜 정부에서는 타결 쪽으로 분위기를 몰고 가는 것일까. 그리고 왜 우리 전체의 문제인 FTA가 농민만의 문제로 자꾸만 귀착되어 가고 있는 것일까. 분명 농업인만의 문제가 아닌 우리 전체의 문제인데 국민들의 체감은 결코 그렇지가 않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면, 포도밭을 보상을 받고 없애고 있다. 결국 수입 포도를 먹게 된다는 말인데, 현재의 수입포도 금액이 우리 농촌에서 포도 농사가 거의 없어진 10년 후에도 같겠는가를 깊이 생각해 봐야할 문제인 것이다. 결국 소비자인 국민 전체의 문제이지 농사를 포기한 농민만의 문제는 절대 아니다.
지난 12일부터 6일간의 일정으로 선도농업인 선진농업국가 해외 연수를 떠났는데, 농축 관련기관은 배제되고 행정기관만의 추진으로 이루어진 일이라고 불만의 목소리가 높은 것으로 알고 있다. 일종의 한 목적을 둔 불협화음이다. 농축 관련인들을 배제하고 누구와 손잡고 농축발전을 도모하겠다는 것인지 이것도 역시 헛갈리기는 마찬가지다. 같은 목적을 갖고 동도同道를 걸어야 하는 동반의 관계가 소원해진다면 이는 둘 다의 책임이긴 하지만 안 그래도 어려워지기만 하는 농촌의 현실을 생각하면 군 관계자들의 좀 더 넓은 오지랖을 기대할 수 밖에 없다.
국제 경쟁력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현실을 생각해 보면 관과 개인이 따로 걸을 수는 없으며, FTA라는 경제 강대국들의 오만을 의식하고 경계를 해야만 한다. 우리 물건도 팔기 위해서는 FTA를 수용해야한다는 식의 오해는 냉철한 경제 괴물들의 논리일 뿐이다. 이것은 일방통행 거래가 될 것이며, 결국 먹히게 되는 원리이다. 그래서 우리 사회가 더 이상 농민에게만 짐을 지워서는 안된다. 우리가 생산하는 소수의 공산품을 제외한 모든 물품과 농산물이 그들이 의도하는 테두리 안으로 휩쓸려 들어가 버리면 대한민국 경제는 국가의 손을 이미 떠나게 되는 소름끼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한 몸처럼 서로를 껴안고 같은 곳을 바라보는 ‘우리’가 되어야 만이 소용돌이치는 국제정세와 FTA라는 국제 괴물 앞에서 당당하게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