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부포함, 실태조사 때에만 ‘반짝’ 효과

“인사반영 등 특단의 조치 필요” 내부지적

영광군이 인구 10만 자립도시 건설을 목표로 각종 인구늘리기 운동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공무원들의 외지 출퇴근 비율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외지 출퇴근 공무원 중에는 일부 간부급 공무원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인사반영 등 확실한 조치가 필요하단 내부 지적이다.

최근 군청 안팎에서 공무원들의 관외 출퇴근이 부쩍 늘었다는 지적들이 제기됐었다. 실제 군이 비공식 조사한 결과도 전체 공무원의 18% 수준인 110여명이 관외 출퇴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해 실태조사 결과였던 90여명에 비해 오히려 20여명이나 증가한 수치다. 여기에 일부 과장·계장 등 간부공무원까지 포함된 것으로 전해져 군이 추진하고 있는 ‘인구 10만 자립도시 건설운동’을 무색케하고 있다.

물론 이번 조사가 여론에 따른 비공식적 긴급조사로 정확도가 다소 떨어진다는 의견도 있지만 항간에 떠도는 여론이 일부 사실로 확인되면서 군수의 의지가 ‘반짝효과’에 머문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또한, 군 행정부서에서 자체적으로 실태파악을 하는 동안에만 잠깐 효과를 내고 시간이 지나면 되돌아가는 형태의 대책은 행정력만 낭비한다는 내부 지적도 있다.

이 때문에 공무원들의 관외출퇴근 문제를 불가피한 경우 외에는 승진․전보 등의 인사에 반영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는 등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공무원 노조 관계자는 “공무원 관외 출퇴근은 우리군 인구늘리기 정책과는 배치되지만 그렇다고 관내 거주를 강제하거나 밀어붙이기식은 문제다”며 “관외 출퇴근 공무원들이 지역에 거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되 채찍보다는 인사에 확실히 반영하는 조치 등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에 군 행정부서 관계자는 “군 공무원과 가족의 거주실태를 전면 재조사하고 있으며 이들의 관내 이주를 위해 승진임용심사, 모범공무원 등의 선정시 우선권을 주는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줄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정기호 군수는 “군 산하 공직자들의 관외 출․퇴근 현황을 받아보고 깜짝 놀랐다. 공직자들이 책임과 의무를 다하지 못한 것에 안타깝고 유감스러운 일이다”며 개선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