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 핵연료 관리방안에 관한 2차 공청회가 파행으로 무산됐다. 지난 29일 한국원자력학회컨소시엄이 서울 역삼동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사용후 핵연료 관리방안에 관한 2차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경주시의원 20여명과 시민단체회원들이 단상을 점검하고 공청회 진행을 방해하면서 결국 열리지 못했다.

이날 공청회에는 인문사회 등 원자력 분야 전문가 이외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했으나 공청회가 무산되는 광경을 지켜보았다.

경주시의원들은 "현 원전 부지에 임시저장시설을 늘려 고준위 폐기물을 저장한다는 연구 용역결과는 인정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이는 지난 19일 원자력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1차 공청회를 열어 국내 원전 내 사용후 핵연료 임시저장시설을 늘려 임시저장시설 포화 시점을 당초 2016년에서 2024년으로까지 늦출 수 있다는 연구용역 결과를 내놨기 때문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중기적으로는 포화되는 원전부터 원전별로 중간저장시설을 확보하는 대안과, 2020년 초까지 별도의 부지에 중간저장시설을 확보하는 대안도 제시했다.

이날 경주시 의원들은 당초 경주 방폐장 확정 때 발전소 내 사용후 핵연료 임시저장시설이 2016년 포화되면 다른 지역의 중간저장시설로 옮긴다고 약속하였으나 최근 들어 그 내용이 바뀐 용역 결과가 제시되자 공청회 자체를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지식경제부는 이날 2차 공청회가 무산됨에 따라 당초 내달 초로 검토했던 사용후 핵연료 관리대안의 최종 연구용역결과 및 향후 관리대안 기본방침의 발표 시기를 늦추기로 했다.

문제의 사용후 핵연료는 영광원전 내에도 무려 1,700여 톤이 임시보관 되어있다. 말이 임시보관이지 영구보관이나 마찬가지인 셈인데, 그것도 2016년까지를 8년 더 늘려 2024년까지로 변경하기 위한 움직임이 노출된 셈이다.

지역에서는 사용후 핵연료의 보관료를 받아내야 한다는 주장들이 계속되고 있지만 임시보관이라는 그들의 억지논리에 결과를 만들지 못하고 있다.

사용후 핵연료의 위험성은 지난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 여실히 드러났다. 핵발전 이후 엄청난 열을 발산하는 사용후 핵연료가 얼마나 치명적인지를 생생하게 지켜보았다. 이제부터 라도 이에 대한 공론을 시작해야 할 시점이라는 판단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