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도시화’ ‘저탄소그린화’ ‘사회고령화’의 해결방안으로

퍼스널모빌리티 개발의 사회적 배경에는 거대도시화저탄소그린화’ ‘사회고령화를 해결키 위한 연구 끝에 제시되고 있는 방안이다.

거대도시란 일반적으로 인구 1,000만 이상의 대도시를 의미하며, 도심 내 거주 뿐 만 아니라 도시외곽 거주·도심 출퇴근 인원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2025년 인구의 60%45억 명이 도시에 집중 될 것으로 예측되며, 현재 22개 거대도시는 신흥도시를 중심으로 30개 이상 확대될 전망이다.

교외 도시와 도시 중심간 유동인구 증가에 따른 교통 혼잡 증대는 대중교통 접근성 및 도로, 철도, 주차장 효율성의 획기적 향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2025년 최소 50% 이상의 빌딩들이 친환경화·지능화될 것이며, ·재생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스마트 이동수단 및 충전 등 관련 인프라, ICT 융합 스마트기술 기반 이동수단 출현이 예상된다.

저탄소 그린화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각국 대기오염 개선을 위한 정부차원의 규제를 시행 중으로, 북미는 2000EPAClass 2이하 가솔린 및 디젤 차량에 대한 배기가스 기준을 평균 연비 14.4km/l 이상, CO2 배출 : 163g·CO2/km 미만으로 정하고 운영중이며,

유럽은 미국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배출기준 적용하고, 연료 사용량 자체를 축소시키는 정책, 즉 디젤 친화적 유류세 부과, 유류에 포함된 에너지 등급화 등을 운용하며, 동시에 CO2 배출기준을 EURO-5 (NOx : 0.29g/mi 미만, PM : 0.08g/mi 미만)이며, 2012년부터 각 제조사 신규등록차량 중 65%가 법정허용치인 130g·CO2/km 이하를 만족하는 엄격한 기준을 시행하고 있다.

사회 고령화는 국가의 노인인구 차지 비율 증가를 의미하며, 총 인구 기준 714%를 고령화 사회, 1420%를 고령사회, 20% 이상을 초고령 사회로 분류(UN)한다

우리나라는 ‘2000년 고령화 사회 201011%를 기록하였으며, 2018년 고령사회,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의 진입 속도는, 프랑스 115, 스웨덴 85, 미국 73, 이탈리아 61, 독일 40, 일본 24년이 걸린 반면 대한민국은 18년으로 유래 없이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가구주의 연령이 65세 이상 고령 가구 수는 2000173만 가구에서 2010298만 가구로 증가하였으며, 그 중 노인 1인 가구 비중은 200054만 가구가 2010102만 가구 2020151만 가구 2030234만 가구(전체 11.8%)로 전망하고 있다.

 

 

Y 세대의 등장과 자동차 산업

감성가치를 소비 중심에 두는 Y세대(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에 걸쳐 출생한 20세 미만의 청소년층)들은 제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분석하고, 다양한 옵션을 조합하여 본인만의 개성을 드러내는 제품을 추구한다

무조건 최고가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최고의 느낌혹은 최신의 감각을 지닌 제품을 선호하고, 자신의 이념이·가치에 부합하는 자신들만의 소비 코드가 생성되고 있다.

이들은 단순히 가격이나 사이즈가 아닌 개개인의 경험과 가치관에 맞춰 평가하고 선택하며, 개방된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으로 직접 정보를 생산, 공유하며, 개인의 의견이나 아이디어를 제품 기획 과정에 반영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를위한 기술융합이나 제품융합, 산업융합이 급속도로 진전되면서 자동차의 기능적 가치와 상징적 가치가 균형을 이루는 현명한 소비(smart choice)를 유도하는 새로운 개념의 자동차 제품기획이 요구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Y세대 소비층을 중심으로 그들의 구매 특성과 소비성향을 분석하여, 자동차-ICT 기술 융합을 통한 새로운 시각에서 자동차에 대한 개념과 가치, 사용성 등의 재평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에서도 현대자동차 중심으로 개발 진행중

한국에서의 퍼스널 모빌리티 개발은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현대차는 20134월 서울모터쇼에서 ‘E4U’ 컨셉카를 공개했다. 수평적으로 움직이는 반구 모향의 바퀴를 이용해 이동하며, 이를 보조하기 위해 뒤쪽에 두 개의 보조 바퀴가 앞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차량 루프로 머리에 쓸 수 있으며, 머리에 쓰게 되면 차량 앞 유리의 역할을 하고, 차체에 장착된 두 개의 접이식 뒤다리에는 바퀴가 장착되어 있다. 주행시 운전자가 몸을 전·, ·우로 기울여 방향을 조절한다. 24V 배터리는 500W 전기모터를 구동시켜 80‘E4U’를 최고 30/h까지 달릴 수 있다.

우리나라도 자동차 제조업체 외에 전기자전거나 전기오토바이 등 이륜차 업체나 자동차 부품업체를 중심으로 퍼스널 모빌리티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백트리스

백트리스는 전기스쿠터 전문업체로 전기스쿠터는 100v, 220v 등 가정용 전기를 이용해 손쉽게 충전할 수 있다. EU2011, 2012, 2013년의 전기스쿠터로 선정하였고, 미 뉴욕 및 LA경찰에서 사용되었다. 바이크매니아, 시설관리, 경비, 공공기관, 친환경 기업 등에서 다수 사용된다. ‘VX-1Li+’3시간 30분 충전으로 136를 주행할 수 있다. 특히, 정차시 후진기능과 주행시 회생 제동되는 신기술이 장착되었다.

 

 

T3Motion

T3Motion의 전기스쿠터는 자체 개발한 배터리를 장착하고 있는데 한번 충전하면 80를 달릴 수 있고, 최고속도 32이다. 탄소배출이나 공해가 없으며, 교체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어 3~4시간 충전하면 하루 업무가 가능하다. 친환경적이고 안전하여 안전경비분야에서 주로 애용되며, 뉴욕 및 LA경찰이 사용하고 있다. 조작하기 쉽고 좁은 골목길도 달릴 수 있어 주부, 노인에게 적합하고 미 우편배달 서비스, 이베이 등에서 사용된다.

 

 

세그웨이

세그웨이는 2001년 미 발명가 딘 카멘(Dean Kamen)이 개발한 1인용 스쿠터로 한 사람이 서서 타며 전기 충전 배터리로 작동된다. 최고 속도 19이며, 한번 충전하면 24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엑셀이나 브레이크의 조작없이 체중 이동만으로 출발과 정지를 할 수 있어 작은 회전 반경의 조작성을 가진다. 퍼스널 모빌리티의 원조인 세그웨이는 업무용 B to B에 목적을 두고, 거리 만들기나 관광 수단으로 주로 이용된다. 시가지의 거점에 충전스포트를 설치해 ICT를 사용하여 세그웨이를 렌탈하면 거리의 거점이동에 알맞고, 휴대단말로부터 주변정보와 거점의 정보를 받으면 편리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일본 나가사키시의 하우스텐보스나 훗카이도의 도카치 1000년의 숲에서 시작한 세그웨일타고 자연을 돌아다니는 가이드 투어도 인기를 끌고 있다.

 

 

만도

자동차 부품업체인 만도는 2012년 자전거 마니아가 아닌 일반인도 편하게 탈 수 있는 전기자전거 풋루스(Footloose)’를 개발하였다. 체인을 없애고 단순 접이식이 아닌 캐리어처럼 끌고 다닐 수 있게 해 이동성을 극대화 하였다. 220V 전원으로 한번 충전하면 최대 40~50를 달릴 수 있고 최대 시속 25이다. 201210월 국내에서 300만원대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고, 타깃시장인 유럽에서는 2013년 초부터 2,900유로에 판매되고 있다. 폴딩(접이)기능을 추가하였고, 무게는 21에 불과하다.

 

 

미래 방향은

앞에서 살펴본 것 같이 전기자전거, 전기오토바이, 1인용 소형차 등 근거리 이동수단인 퍼스널 모빌리티가 자동차 제조업체, 자동차 부품업체, 이륜차업체를 중심으로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며, 가까운 장래에 시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는 도시화와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도심 내 이동거리가 짧아지고 있는 추세에 적합한 미래 유망한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 산업을 진흥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중자기 발전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도 퍼스널 모빌리티의 개발에 관해 중소기업 중심의 기술개발, 제도 정비, 보급 및 실증 사업, 산업기반 구축 등의 중장기 발전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ICT와 융합해 새로운 시장을 창조하는 차원에서 중장기 발전전략이 필요하다. 또 시장 선점을 위해 연구 범위와 예산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법제도 기반 정비이다. 퍼스널 모빌리티는 현재 도로교통법 등의 법적인 규제가 있어 공공 도로에서는 전동휠체어와 같이 시속 6가 상한으로 그 이상 스피드를 내려고 하면 법 개정이 필요하다. 경찰청이나 국토부 등 관계부처의 이해가 걸려 있어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나 정부에서 하루 빨리 퍼스널 모빌리티가 원활히 운행될 수 있도록 법 제도 기반의 정비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