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과 / 안전경제과

<해양수산과>

소득기반·정주여건 개선으로 삶의 질 향상

김일용 해양수산과장

박래춘 수산진흥담당

오세학 수산자원담당

김성균 해양관리담당

이동완 굴비마케팅담당

임형표 천일염담당 

 

#수산진흥= 섬 지역기반시설 확충을 위해 낙월면 3개 도서인 상낙월도, 송이도, 안마도에 물량장, 관광도로 및 산책로를 개설하여 아름다운 해안경관을 조성하여 해양관광 기반 시설을 확충 도서민의 삶의 질 향상과 관광객을 유치하겠다. 연안생태환경 복원과 재해예방을 위해 ·하낙월도의 호안(2.2)과 연도교(50m)를 친환경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선량한 어항의 유지·관리를 위해 어항구역을 정비하여 쾌적한 어항시설을 유지하고 어업인 편익 제공을 위해 복합다기능 부잔교를 설치 지원한다. 전반적으로 어업 소득기반을 다지고 정주여건을 개선해 지역 내 어업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수산자원= 기본적으로 어선어업 등 잡는 어업을 합리적으로 추진하고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한 토산어종양식지원, 농어업에너지효율화 지원과 수산자원관리수면을 지정관리 하고, 업기반 확충을 위해 다목적인양기 설치, 종묘방류, 세양식연구 개발, 민물장어 친어사육연구센타 건립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다수 어업인과 원활한 소통을 도모코자 바다드림팀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조건이 불리한 도서지역의 어업인들을 대상으로 수산 직불금을 지원하여 어업인의 권익증진에 만전을 기하겠다.

#해양관리= 어업인들의 삶의 터전이라 할 수 있는 바다를 청정 환경으로 가꾸기 위해 해안가 쓰레기 수, 바다 속의 침체 어망 인양, 방치폐선 처리, 조업중에 인양된 폐기물 수매 사업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 또한 연안 환경 보전 및 지속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을 도모하고, 공유수면 및 수산자원보호구역 관리는 물론 산란 및 성어기 불법 어업 근절을 위한 지도·단속 실시로 수산 자원 보호 육성에도 더욱 힘써나가겠다.

#굴비마케팅= 해양관광 및 수산물유통기반시설 확충으로 국내·외 관광객 유치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건립중에 있는 향화도 바다매체타워시설 및 설도젓갈타운을 연내에 마무리 하겠다. 영광굴비가공시설의 현대화, 규모화 시설로 위생적이고 안정적 생산체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수산물공동가공시설을 건립한다. 또한, 민물장어 산지 기능강화와 브랜드 개발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민물장어 유통물류센터를 건립한다. 이러한 관련 사업 추진으로 우리군의 수산물 명품사업을 전문적으로 육성해 국민 건강식품으로 거듭나도록 하겠다.

#천일염= 2008년 천일염이 광물에서 식품으로 전환된 이후 천일염육성사업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 세계5대 갯벌에 속하는 서해안에서 생산하는 천일염은 세계 최고로 치는 프랑스 게랑드 소금보다 염화나트륨 함량이 낮고, 칼륨과 마그네슘 등 미네랄 함량이 더 높다고 한. 식품으로 전환된 만큼 위생적인 생산과 유통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형성하고 더 나아가 세계명품화를 꾀하여야 할 때이다. 따라서 올해는 슬레이트구조물 완전 철거교체와 친환경바닥재 개선 사업 등 시설개선 지원과 장기저장시설 건립, 포장재 개선, 품질인증제 등 품질 향상 및 유통구조 개선에 주력할 계획이다.

 

 

예산

항목

예산(만원)

합 계

2111,624

행정운영경비

19,115

어항개발 관리

98,730

해양수산진흥

15,987

양식어업

112,570

어업지도선 유지관리

16,517

어선어업

94,820

수산물가공유통

706,504

수산자원조성

22,790

어업자원자율관리지원

66

천일염육성관리

277,566

군유염전 육성관리

36,074

도서종합개발

303,000

수산직불제

5,300

연안관리

276,105

해양환경보전

35,580

어장환경 복원

5900

 

 

<안전경제과>

안전기반 구축 및 경제 활성화

김희정 안전경제과장

이현조 안전총괄담당

이영길 원전관리담당

서일석 지역경제담당

이화현 민방위담당

 

 

#안전총괄= 기후 및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잦은 재난에 대비 재해위험시설물과 재난상황 관리 등 선제적 방재행정으로 피해를 최소화 하고, 원전 운영의 안전성 제고와 지원사업의 효율적 추진 및 비상대응 태세 및 위기관리 역량을 강화한다. 안전한 사회 기반을 구축하고, 맞춤형 일자리 창출 및 친환경 에너지 보급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및 경쟁력을 제고하겠다.

재난 예방 및 신속한 현장 관리 대응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재난종합상황실을 100규모로 확대 구축하고, 재난 방송시스템을 118개소에서 175개소로 확대한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현장 지휘 체계를 확립하고, 기상특보에 대한 SNS 홍보와 문자서비스를 2,000명으로 확대한다.

풍수해, 물놀이, 폭염, 겨울철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지역을 만들기 위하여 각종 위험시설물을 사전 점검 정비하고, 위험지구 정비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풍수해 보험 가입 확대와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 및 안전문화운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군민 재산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 한다.

#지역경제= 군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생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지역공동체 일자리 40명을 실시하고 4개의 사회적 기업에 일자리 창출·전문인력·사업개발비 사업비 36,400만원을 지원한다. 4개 마을기업에는 14,000만원을 지원하며, 중소기업 청년 인턴 9, 농어민 실업자 직업 훈련 12명을 지원한다.

안전하고 저렴한 에너지원인 천연 도시가스를 300세대에 추가 보급하여 4,400세대로 확대하고,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주택 20동을 지원 보급함으로써 전기 및 연료비 절감으로 투자 유치와 군민 및 기업의 대외 경쟁력을 제고 한다.

#원전관리= 원전 운영의 안전성 제고와 방사능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하여 주민 대표와 전문가 10인 내외로 한빛원전 안전성 검증단을 구성.운영하여 2호기와 3호기 계획예방정비 기간에 안전성을 검증한다. 민관의 소통과 협력으로 원전 안전 운영을 주도하기 위하여 한빛원전과 원자력안전위원회 협의회 운영을 활성화 하고 민간환경안전감시기구의 기능 및 역량을 강화한다.

원전주변지역 지원사업(7개 분야, 966,600만원)을 적기에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쾌적하고 살기 좋은 정주 환경을 조성한다.

구분

분 야

사 업 명

사업비(만원)

 

 

34

966,600

기본지원사업

육영사업

인재육성기금 조성 외 4

209,500

공공시설사업

우산공원화 사업 외 15

29500

소득증대사업

홍농테마식물원조성 외 1

156,500

기업유치지원사업

투자유치기업지원

13

사회복지사업

홍농 문화복지센터 조성 외 1

3

사업자

지원사업

지역경제협력사업

백수 방파제 및 선착장 조성 외 4

102,100

지역문화진흥사업

문화예술회관 기획 공연 외 2

48,000

 

 

#민방위= 국지도발 및 비상사태시 신속한 지역 위기관리 대응 태세 유지를 위하여 취약지 합동 점검과 모의훈련 및 청소년 안보 교육을 실시하여 민··경 통합방위 작전 수행 체계를 구축한다. 지역(147), 직장(20), 기술지원대(1) 168개 민방위 조직 정비와 생활 밀착형 교육·훈련 실시로 위기관리 대응 능력을 배양하고, 의용소방대 526명이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예방·복구 활동을 전개한다.

 

 

예산

항목

예산(만원)

합계

1318,863

행정운영비

15,448

재난재해대책추진

39,576

지역경제활성화

229,148

원전의 안전성제고와 지역발전

2,052

원전 방사능 재난 대응 능력 강화

6,424

민방위관리

2298

기금전출금

18,917

원전주변지역지원사업(특별회계)

943,400

재난관리기금

43,600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