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 안전성확보를 위한 민관합동조사단이 지난해 11월 활동을 시작한 이후 내용을 공개했다. 조사단은 군의회와 범대위가 합의해 출범하였으며 지난달까지 6차례의 회의를 통해 추진과제를 선정하고 실무위원회 구성과 검증단의 활동을 보고받고 안전에 관한 현안을 의결하고 있다. 실무위원회는 619일 제 14차 회의까지 검증단의 구성과 조사활동을 위한 제반 문제를 추진하고 있다.

검증단은 1분과 콘크리트구조물, 2분과 격납건물 내부철판, 3분과 증기발생기와 지진, 4분과 제도개선으로 역할을 담담하고 있다.

검증단에는 주민참여단과 전문가와 전문기관이 함께하고 있다. 현재까지 각 분과별로 그동안 제기되었던 안전성 문제 등을 토대로 현장 확인 등 검증을 실시해 11월에 중간보고를, 내년 7월에 최종 보고한다.

한빛원전의 민관합동조사단이 구성되고 검증활동이 진행된 발단은 소위 한국형원전이라는 프로젝트로 진행된 3·4호기의 부실 시공 문제 때문이다.

19874월에 설계 및 주기기 공급계약으로 순수 국내 기술진에 의해 건설된 한국표준형원전의 효시이다.

1971년 우리나라 최초의 원자력발전소인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2호기와 월성 1·2호기 고리 3·4호기, 영광 1·2호기, 울진 1·2호기까지 미국 웨스팅하우스를 중심으로 설계된 원전을 한국 건설업체들이 공사를 담당하는 형식이었다.

그러나 영광 3·4호기부터 주계약자를 국내업체가 담당하고 외국 업체를 하도급자로 방식을 변경해 설계부터 시공까지 주도하면서 한국형원전 건설을 시작했다.

한전은 영광 3·4호기를 시험 삼아 울진 3·4호기를 한국표준형원전으로 완성했다고 자신한다. 문제의 핵심은 이곳에 있다. 한국표준형원전을 완성하기 위해 영광 3·4호기를 설계부터 시공까지 주도하면서 건설 당시부터 온갖 문제점이 난무했다. 영광 1·2호기 공사에 참여 했던 지역민들이 3·4호기 공정에 대해 이렇게 지어도 되는지 문제를 수십 차례 제기하였으나 한전의 대답은 언제나 안전하다고 확언했다.

그리고 지금은 온갖 부실이 드러나면서 조기 폐로까지 거론되고 있다. 이 책임을 누가 져야 하는지 의문이다. 시공 당시 안전하다고 장담했던 정부와 한전은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답해야 한다.

3호기가 지진에 대비한 철골 간격 미달부위 정비와 보강재 주변 콘크리트 공극 문제로 가동이 지연 되면 한빛원전 5개 호기가 동시에 정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부실시공으로 인한 원전 미가동으로 발생하는 지역의 손실은 누가 책임져야 하는지도 답해야 한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