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 2호기 격납건물 내부철판에서도 두께 불량철판이 50여 곳 발견되어 또 다른 논쟁이 예상된다.

이는 지난 5월에 고리원전 3호기가 2,077(비부식 1,853) 4호기는 2,158(비부식 2,149)으로 밝혀져 원전 지역들의 비상한 관심을 일으켰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해부터 국내 원전 22기에 대한 건전성 조사 실시하고 있다. 원안위는 조사결과 고리 3·4호기 두께기준 미달 부위를 각각 279(비부식 71)80(비부식 69)이라고 발표했다. 이번 한빛 2호기는 격납건물 중 1단 검사 결과로서 1호기까지 포함해 13단까지 검사 시 수천 곳이 나타날 것으로 우려된다.

결국 우리나라 원전 격납건물 내부에 두께 불량철판이 설치됐다니 실망을 넘어 분노를 일으키고 있다.

격납건물 내부철판은 방사능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하는 5중 방어막 중 4번째이다. 정상두께는 6mm로서 두께가 10% 아래이면 기준치 이하 불량철판이다.

한빛원전 1·2호기는 그래도 정밀시공 되었다고 평가 받고 있는데도 이번 2호기의 용접선 부위 조사 결과에 대해 한수원은 어떻게 설명 하련지 궁금하다.

지난 6영광핵발전소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공동행동은 영광군청 앞에서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한빛원전 3호기의 재가동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한빛 4호기 격납건물 15단 상부에는 원주형 공극과 함께 콘크리트 배면 공극이 수백에서 수천 개가 예상되고 있으며, 한빛 3호기도 동일할 가능성이 있음에도 안전에 이상이 없다며 가동 하겠다는 것은 안전보다는 자신들의 이익을 우선하는 행위이다고 비난했다.

한빛 3·4호기는 건설 당시부터 부실시공 논란이 계속되었다. 부실시공 논란을 해결키 위해 영광군의회가 지난 19947월 영광원전 3·4호기 관련 국정조사 요구 및 핵연료 장전철회 청원서를 국회의장에게 제출해 현장 국정감사도 실시하였으나 결과는 제로였다.

당시 한전은 부실공사를 부인하고 명예실추 피해보상과 국가산업설비 훼손 등의 적반하장으로 일관했다.

그러나 25여년이 지난 지금은 그때의 부실시공 주장이 대부분 현실이 되고 있다. 이 같은 책임은 누가 져야 하는지 밝혀내야 한다.

한수원은 공동행동의 요구대로 3·4호기 부실시공에 대한 대 군민 사과가 우선이다. 그리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3·4호기 민관합동조사단 활동에 적극 협력하고 그 대책수립에 주력해야 한다. 군민 안전 확보가 최우선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