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원전으로 인한 지역내 갈등과 이전투구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최근 2005년 실시한 56호기 건설 및 가동에 따른 광역해양피해조사 결과가 잘못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당시 영광지역 어민들의 보상 기준이 됐던 광역해양피해조사 결과 중 온배수 1확산 범위를 20.2km까지만 인정한 것은 학술적 과학적 문제가 있다는 조사결과 때문이다.

전남도와 영광군, 영광수협 등이 12억원을 투입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측에 의뢰해 지난해까지 3년간 진행한 조사에서 복사열을 적용한 과거조사의 오류와 최근 조사된 온배수 확산거리와 침적 및 퇴적 문제이다.

2005년 조사에서 피해범위가 29.7km로 나타났는데도 굳이 복사열을 제시해 9.5km를 축소했다. 복사열은 태양빛이 수면이나 지면에 내려쪼여 나타나는 온도 변화를 뜻한다.

바람 잘 날 없는 한빛원전에 대한 우리지역의 현안을 제시한다면 크게 세가지를 들 수 있다. 사용후핵연료인 고준위폐기물처분장 문제와 상생사업추진이며, 원전폐로 대책이다.

고준위핵폐기물은 원자로에서 사용한 핵연료를 통칭하며, 고방사능 발열체로서 한빛원전 내 습식저장소에 임시보관하고 있다. 그런데 오는 2024년이면 포화상태에 이른다. 원칙적으로는 정부가 고준위핵폐기물 처분장을 시설해 한빛원전의 사용후핵연료를 옮겨가야 하는데 처분장을 만들지 못하자 급기야 원전단지 내에 중간저장소 형식을 추진하고 있다.

이 중간저장소 문제를 놓고 정부와 원전 지자체간 이견으로 5~6년간 허송세월만 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상생사업은 지난 201712월에 에너지 전문인력 양성(250)’농수축산물 수도권 거점센터(100)’ ‘온배수 이용사업 저감대책(100)’ 3가지 사업비 450억원을 확정했다.

그러나 2년이 지난 현재에도 단 한 가지 사업도 진행시키지 못하고 있다. 그 원인을 분석해보면 3가지 사업 모두다 지역경제 발전은 고사하고 지역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사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 사업의 재검토를 주장하고 있지만 군과 군의회는 세월만 가라 식으로 버티고 있는 실정이다. 군이 오는 2025년과 2026년에 가동이 정지되는 한빛 12호기의 폐로를 대비하는 용역을 착수했다.

앞으로 계속될 원전 폐로를 대비하는 정책은 하루가 시급하다. 전문가는 물론 지역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토대로 정부지원 지역 대체 산업 발굴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지역민들의 생각을 하나로 모아야 한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