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진 광신대학교 복지상담융합학부 교수

김철진 광신대학교 복지상담융합학부 교수
김철진 광신대학교 복지상담융합학부 교수

IQ시대는 가고 EQ의 시대가 왔나 싶더니 이제는 SQ의 시대가 도래했다. 그 이후 많은 사람들이 감성지수’(EQ)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로 말미암아 시대정신이 바뀌고 있다. 그것은 이성의 시대에서 감성의 시대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이다.

감성시대가 되었다는 것은 지금도 여전히 사회의 여기저기에서 감지되고 있다. 즉 시대가 이성을 강조하는 시대에서 감성을 강조하는 시대로 변화된 것이다. 과거에는 직원을 채용할 때, 지식을 묻는 입사시험을 보았다. 그래서 영어를 잘하고, 전공을 잘하고, 학점이 뛰어난 사람이 우수한 사람이라고 대우받곤 했다. 그런데 지금은 거의 모든 회사에서 입사시험이 사라지고, 인성을 묻는 면접으로 대체되었다. ? 감성시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과거에 높은 IQ가 필요했던 일들은 이제 대부분 컴퓨터가 담당하게 되었다. 이제는 조직 속에서 융화를 이루고, 열정이 있고, 인격이 되어있는 사람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이 세상에는 많은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 어느 조직이나 단체에는 반드시 리더가 있게 마련이고 그 리더가 얼마나 잘 이끌어 주느냐에 따라 성공과 실패가 좌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모든 성공의 열쇠는 사람들을 얼마나 잘 인도하느냐 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고 본다. 이런 의미에서 감성에 호소하여 변화를 주도하는 리더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것은 다시 말해서 감동받고 싶다로 요약할 수 있다.

당신 안에 잠재된 리더십을 키우라는 책에서 존 맥스웰은 훌륭한 리더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훈련되어지는 것이다고 말했던 것이 생각난다. 우리 지역도 이제는 새로운 리더십이 주목되는 시기가 되었다. 바야흐로 정치의 시기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런 시대적인 요청에 즈음하여 당신 안에 잠재된 리더십을 키우라라는 존 맥스웰의 책을 통해 새로운 시대에 준비하는 리더십에 대해 리더십의 기본원리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한다.

첫째, 리더는 영향력을 끼치는 사람이다고 볼 수 있는데, 미래를 위한 최선의 투자는 오늘 끼치는 적절한 영향력이다 고 볼 수 있다. 영향력이란 계발될 수 있는 기술이다. 우리는 누구나 자신이 소유한 잠재적인 영향력과 리더십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본다.

둘째, 리더는 일의 우선순위에 따라 생각하고 행동해야 한다. 이것이 리더십의 열쇠이다. 성공이란 미리 정해진 목표를 전략적으로 실현해 가는 것이므로 파레토 원리(20/80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소유하고 있는 시간과 에너지와 돈과 사람들을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20%의 일에 투자하기만 한다면 그 우선적인 20%의 일들은 당신에게 80%의 성과를 안겨다 줄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이 간단한 원리를 붙잡지 못하고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셋째, 리더는 진실성으로 무장해야 한다. 진실성은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힘이다.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것은 정직하고 견고한 성품, 말과 행동이 일치하여 신뢰할 만한 성품, 그리고 지. . 의가 조화를 이룬 성품을 의미한다.

넷째, 지도자가 변할 때 조직이 변한다. 이것은 조직의 변화와 발전에 최후의 시금석이다. 변화하지 않는 지도자는 결코 자신의 조직을 변화시키지 못한다. 사람들은 본대로 행하기 때문이다. 변화는 성장을 의미한다. 당신이 변하지 않으면 당신의 조직과 당신은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

다섯째, 성공은 문제를 극복 할 때 찾아온다. 이것을 리더십을 인정받는 비결이라고 볼 수 있는데 우리는 모두 문제를 갖고 살아가고 있다. 그들의 문제를 변화시키려 하기보다는 문제를 보는 시각을 먼저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 문제들은 삶의 의미를 주고 있기 때문이다. 뛰어난 많은 사람들은 많은 문제들을 극복해왔다. 성경에 나오는 시편이라는 시들은 역경 속에서 기록되었다. 대부분의 서신들이 감옥 속에서 씌어졌다. 지금 우리의 문제는 진짜 문제가 아니다 문제들에 대해 잘못된 반응을 보임으로써 대수롭지 않은 문제들을 진짜 큰 문제로 만드는 것이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여섯째, 우리의 태도가 우리의 가장 중요한 자산이다. 우리의 태도가 우리를 위한 위대한 지도자로 만드는 결정적인 자산은 아닐지 몰라도 좋은 태도를 갖고 있지 않다면 우리는 결코 우리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하자.

일곱째, 인재를 잘 계발하는 것이 가장 귀중한 자산이다. 자신만을 따라오게 만드는 사람은 한계가 있는 지도자이다. 그러나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이 또 다른 사람들을 인도 할 수 있도록 영향력을 끼치는 사람은 한계를 초월한 지도자라 할 수 있다. 사람들은 자기 삶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들이 자신에게 기대하는 그런 인물이 되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비전은 지도자의 필수적 자질이다. 즉 리더의 필수 자질이다 고 볼 수 있다. 지도자가 비전의 안목을 상실하고서 일들에 끌려 다니기 시작하면 그는 명목상의 지도자에 불과하다. 모든 위대한 지도자는 자신이 어디를 가는지를 알고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따라 오도록 설득하는 능력이 있다. 그런 면에서 지도자가 지불해야 할 대가는 자기 훈련임을 인식하자.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