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향후 10년간 지방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광역 철도망을 구축하고 주요 노선을 고속화해 전국을 2시간대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계획 초안을 지난 22일 발표했다.

국토교통부는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공청회를 열어 이 같은 계획을 밝히고 의견 수렴을 거쳐 오는 6월중에 확정할 계획이다.

정부는 수도권 집중 해소를 위해 충청권과 부산·울산·경남 지역에 광역 철도를 확충하고, 고속철도 이용이 불편했던 서해안 지역에는 새 고속철도를 건설해 경부고속선과 연결하기로 했다고 설명한다.

4차 철도망 계획에는 115조원이 투입 예정이며 사업이 완료되면 철도 연장 구간은 20194,274에서 20305,137로 늘어난다는 것.

계획안이 발표되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수도권 곳곳에 자리 잡은 신도시의 운명이 광역교통망 계획에 따라 엇갈리기 때문이다. 교통망 유무에 따라 신도시의 성패가 좌우되고 교통계획에 대한 기대감만으로도 집값이 크게 오르는 현실이다.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는 신도시 개발에 교통망이 미처 따라오지 못해 주민들의 반발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정부의 수도권 교통망 해소를 위한 노력은 이해가 된다. 그러나 수도권에 몰리고 있는 인구과밀 현상을 저지하는 최고의 방안은 지방 살리기이다.

우리나라는 비혼과 저출산 등으로 인구감소가 사회문제로 대두된 지 20여년이 지났다. 1960년대 경제개발 정책 이후 지방을 떠나 수도권으로 이동하면서 지방은 인구 감소 문제가 최대의 현안이다.

지방 지자체들은 인구소멸을 막기 위한 온갖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역 소멸 위험 해소의 최대 과제는 정부의 지방 살리기이다.

이번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호남권에서는 광주와 대구를 잇는 달빛철도와 전주와 김천 연결 노선, 그리고 군산에서 목포로 이어지는 서해안철도 연결계획이 빠져 정부의 의지가 의심된다.

서해안철도는 장항선까지 이미 운행 중이며 새만금으로 연결하는 사업이 확정된 상태이다. 이번에 건의한 새만금에서 목포까지 남은 100km 구간을 연결해 달라는 것이다.

영광군이 나서 부안과 고창, 함평, 무안군 등 5개 자치단체장이 함께 정부에 건의하고 전남도의회가 반영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였는데도 실패했다.

다행이랄까 추가검토사업 24개 목록 마지막에는 포함되었다. 이제는 4차 계획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5차 구축계획에는 반드시 반영 될 수 있도록 연구하고 노력해야한다. 후손들에게 철도의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