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행위는 행정 기관이 행정권에 의하여 행정 법규를 구체적으로 적용하고 집행하는 행위를 뜻한다.

이 같은 행정행위는 지역민의 생활과 직결되어 있으며, 정당하고 공정한 행정행위만이 지역민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

현대사회는 지식 정보화와 지방화와 함께 시장중심화·시민중심화 등 새로운 21세기적 변화들에 대처하기 위해, 행정행위가 한층 더 근본적이고 전체적인 행정개혁을 요구하고 있다.

지방자치 시대의 가장 필수적인 요소는 지역의 공동관심사를 스스로의 책임 아래에서 처리하는 것이다. 즉 주민의 참여가 지방자치제도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가늠자이다.

지방자치를 재개한 지 30년이 가까워지고 있으나 과연 우리 지역에서는 얼마나 성과를 거두고 있는지 의문이다.

행정을 책임지고 있는 군수와 집행부를 견제하고 감시하는 의회의 기능이 과연 올바르게 진행되고 있는지 다수의 군민들은 고개를 갸우뚱한다.

최근 영광군의 행정행위에 불만을 토로하는 주민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영광읍 우체국 앞 신호등 설치가 대표적이다. 조금만 더 검토했으면 이 같은 불편은 초래하지 않았을 텐데 말이다. 다수 군민들은 신호등보다 회전교차로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설도젓갈타운 관련한 행정행위도 이해 당사자들의 반발을 부르며 행정 신뢰도를 추락시켰다. 가장 큰 행정 실패는 쓰레기 대책이다. 홍농환경센터의 시설 기능이 영광군 쓰레기 일일 발생량을 해결하지 못하는 현실을 수년 전부터 인지하고도 불법 매립 등으로 시간만 보내다 급기야 인근 주민들의 반대로 쓰레기를 반입하지 못하는 사태까지 악화했다. 추석 명절까지 앞두고 쓰레기 미수거로 인해 지역민들은 쓰레기와 전쟁 중이다. 냄새는 물론 벌레까지 우글거리면서 불쾌감이 극도로 높아지고 있다. 왜 누가 이렇게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는 것일까? 쓰레기 반입을 저지하는 주민들의 잘못일까? 결론은 행정행위의 판단 부족과 군과 군의회의 역할 부족으로 귀결한다.

여기에 쓰레기 반입 저지의 핵심 주장인 열병합발전소 연료사용 승인 허가가 또다시 연기되면서 앞으로 쓰레기 대란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열병합발전소는 군이 시작한 사업이다. 시작 당시 군민들의 의사를 반영하여 반대가 심하면 시작하지 말았어야 했다. 시설물의 건축허가를 승인하고 설계변경까지 승인하고서 연료사용을 또다시 연기하는 행정행위는 타당한지 묻고 싶다. 군과 의회, 사업자는 찬성과 반대로 얼룩진 군민 간의 갈등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