칙칙한 가을비가 내리면서 정말 우울한 한 주일이 지나간다. 영광사람 이낙연 전 총리가 민주당 경선에서 패배했다는 사실보다는 민주당 중앙당의 당규 해석을 둘러싼 여러 가지 논란은 우리들 가슴에 피멍을 들게 하고 있다.
지난 10일 더불어민주당 경선 최종 결과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후보자로 확정되었다.
최종 결과 이재명 후보 50.28%이며, 이낙연 후보 39.14%로 발표되었지만 이낙연 캠프에서는 무효표 처리 잘못이라며, 이재명 후보 49.31%와 이낙연 후보 38.38%이므로 결선 투표를 진행해야 한다고 이의를 제기했다. 이에 민주당은 13일 중앙당 당무위원회를 열어 무효표 처리에 대한 격한 토론을 벌였지만 결론은 결선투표 불가였다.
이낙연 전 대표는 당무위 결정 직후 입장문을 내고 당무위원회 결정을 존중하며, 경선 결과를 수용한다고 밝혔다.
이낙연의 경선 승복은 당 원로들이 다시 돌아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후문이다. 즉 이재명 불가론이 대두되는 B플랜의 경우를 뜻한다.
그러나 이낙연 지지자들이 ‘경선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추진한다는 소식도 들려왔다.
이낙연 캠프와는 별개로 민주당 권리당원 100여명이 무효표 처리 문제를 법으로 따져야 한다는 뜻을 모은 것으로 전해진다.
문제의 핵심은 이재명 후보가 대장동 사건의 연관성이 너무나 크다는 사실이다. 이 때문인지 마지막 3차 선거인단 투표에서는 이낙연 전 대표가 62%로 이재명 지사 28%를 누르고 압승을 거두었다는 현실이다.
경선이 1주일만 길었더라면 결선투표만 진행한다면 이낙연 전 대표의 승리는 불 보듯 확실하다는 민주당원들의 한숨 소리가 깊어지고 있다.
우리지역에서도 내년 대선에서 이재명은 찍지 않겠다는 이야기가 들려온다.
경선 뒤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이낙연 전 대표 지지자 40%가 국민의힘 윤석열에게 투표하겠다는 보도에 경악을 금치 못하게 한다.
돌아 보건데 호남은 그동안 목포 출신 김대중 대통령을 향한 무한한 열정으로 최초의 호남 대통령을 창조했다. 그리고 노무현 대통령을 탄생시킨 민주의 성지이다. 그러나 이번 민주당 경선에서 보여준 호남지역의 경선 결과는 한마디로 치욕적이다.
광주의 국회의원들은 앞으로 호남 대통령을 말해서는 안 된다. 민주당 송영길 대표도 대통령을 꿈꾸어서는 안 된다. 민주당이 정권을 빼앗길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