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일순 사진가·수필가

곽일순 사진가·수필가 
곽일순 사진가·수필가 

민주당 대선후보를 결정하는 짧다면 짧은 시간이 지나갔다. 그리고 이재명 후보가 우리 지역 인물 이낙연 후보에게 신승을 거두며 후보로 당선 되었다. 물론 이 후보의 일부 지지자들은 서운함을 뒤풀이 어필로 호소하기도 했지만 원팀이라는 최선의 방향을 선택했다. 우리가 유일하게 사는 방법은 어차피 하나로 뭉치는 것 이외에는 없다. 과거에도 그랬고 앞으로도 이러한 진실은 달라지지 않는다. 그래서 조금은 냉정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정권쟁취라는 정계의 화두는 과거부터 내부적인 권모술수를 많이 벗어나지 않았다. 그래서 전에도 언급했다시피 정적의 제거는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정권 탈환책이었다. 자신이 정권의 정상에서 백성을 위해 무엇을 해야겠다는 사명 혹은 의무감보다 우선하는 것이 바로 인간의 가장 추악한 욕망인 권력욕이기에 정책을 앞세우지 않았다. 그래서 조선을 가장 조선답게 리드했다는 영정시대의 영조 역시 권력욕의 화신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 그는 형(경종)을 죽이고 왕이 되었다는 루머에 평생을 시달렸고 결국 다시 아들(사도)을 죽이면서 왕권을 지켰다. 요즘 말로 사이코패스라고 표현을 해도 과하지 않은 그의 영혼은 온통 권력과 맞닿아 있었던 셈이다. 그래서 조선의 27명 왕 중에 11명이 독살설의 의심을 받고 있으며 고종과 정종 역시 이러한 의구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최고의 권력을 가졌다는 왕의 세 명 중 한명 이상이 누군가에게 시해가 되었다는 의심을 받거나 혹은 사실로 드러난 상황을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까. 결국 우리 정치사는 정적의 제거로 등극하는 방법을 훨씬 더 많이 택해 왔다는 말이다. 근현대사로 살펴보는 현실도 이러한 현상을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 독립운동에 목숨을 걸었던 애국지사 이른바 보수들은 누군가에게 암살을 당하거나 쫒겨나서 자리를 잡지 못했다. 하지만 여전히 보수는 존재하며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역사라는 거대한 장막으로 치장한 보수의 진면목은 앞으로도 밝혀질 가능성이 적다. 흔적은 지워지고 이들을 대변하는 다수의 스피커는 이권을 쫓아 하이에나처럼 국민의 이성을 물어뜯고 있다.

어쩌면 권력을 잡는 데에 가장 수월한 방법이 정당한 경쟁보다는 제거일 것이다. 경쟁은 항상 어렵다. 일단 공정과 상식 그리고 국민을 위한 정책을 병행해야 하는 자체가 쉬운 일은 아니다. 여기에 경쟁자의 능력을 뛰어넘어야 한다는 부담감은 이미 정책의 경쟁을 넘어서는 공격성을 내포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택하는 방법이 상대를 그냥 경쟁의 링에서 끌어내 버리는 방법이다. 때로는 네거티브로 때로는 인신공격으로 나타나는 이러한 상대 죽이기는 결국 양쪽이 모두 심한 내상을 입고 말지만 일단 시작하면 멈출 방법이 사라진다. 현재 야당의 대선후보 선출이 진행 중이다. 이러한 현상은 여지없이 이들에게도 나타나고 있다. 아무리 들어봐도 정책이 없다. 그냥 상대를 지식살인 혹은 인격살인으로 몰아 낙상시키면 그만이라는 신념으로 가득 찬 후보들은 토론 개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무속이 등장하고 항문침이 나오고 과대망상증의 스승님까지 난무하고 있다. 사정이 이러하니 이들에게 무슨 정책 토론이 필요하겠는가. 동네 토론도 이 정도는 아니다. 아는 게 없으니 답변도 못하고 질문다운 질문도 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며 대한민국의 정치판이 어쩌다 이렇게 되었는지 모르겠다는 생각이다. 그래도 무서운 것은 지지층이다. 그들에게 국가는 없으며 자신들만의 리그를 진행할 진영이 필요할 뿐이다. 그리고 이들의 상대에게 뒤집어씌우기 주특기는 아직 진행형이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