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축산과
자동화온실 구축을 통한 시설원예 기반 구축
시설원예작물 생산에 ICT 시설을 갖춘 스마트팜을 적용하여 우리 군 특화작목인 딸기, 망고를 포함한 신소득작물의 생산기반을 더욱 확고히 구축하기 위해 국비지원 사업에 적극적으로 공모하여 시설 및 시스템 보급에 앞장서겠다. 농업기술센터와 협력하여 작물별 시설 및 시스템에 대한 교육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우리 군 대표 아열대과수인 애플망고의 소규모 APC(거점유통센터)를 구축하여 원활한 생산과 유통기반 확보를 통해 국내 아열대과수 소비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이와 함께 우리 군 주요 농산물인 고추, 양파, 대파를 대상으로 한 ‘주요농산물 최저가격 보장제’를 추진하여 농산물 수급불안정에 대한 대응을 통해 영농의욕 고취 및 농가 경영안정을 도모하겠다. 노지채소 분야에 대한 지원사업 또한 내실 있게 추진하여 농산물의 품질개선 및 생산성 향상으로 농가소득을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지역특화 식품산업 활성화
지역의 향토자원인 보리, 모싯잎, 고추 등을 활용하여 고소득 창출이 가능한 신제품을 개발할 계획이며, 안전한 먹거리 생산, 소비자의 신뢰 확보 및 판매 촉진을 위해 농식품 제조·가공공장 HACCP시설 및 도지사품질인증 제품 관련 지원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더불어 전국유일의 ‘보리·모싯잎 산업특구’로서 영광찰보리산업의 자립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반으로 ‘영광찰보리 신활력거점센터’를 조성하여 농산물체험, 교육, 문화행사 등 다양한 사업으로 보리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한다. 또한, 관내·외 행사 및 국제박람회 등에서 농식품 홍보전시장을 운영하여 우리 군 농식품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힘쓰겠다. 이와 함께 체험마을 홍보관 운영, 애향심고취 농촌체험 등의 농촌체험·휴양마을 활성화 사업을 추진하여 “다시 찾는 농촌! 활력이 넘치는 농촌!”을 만들겠다.
환경친화형 축산업 육성을 위한 생산기반 구축
유기·무항생제 인증, 동물복지형 녹색축산농장 육성, 친환경 인증농가 생균제 지원 등을 통한 동물복지 농장 육성 및 환경친화형 축산업 기반을 조성하겠다. 깨끗한 축사 경관 만들기, 쾌적한 마을 만들기 축사 이전, 양돈 생산성 향상 지원사업 등을 통해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축사환경을 조성하여 축산관련 민원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 축사시설 현대화, 축산ICT, TMR 자동급이기 지원사업 등으로 스마트 축산기반을 구축하여 축산농가 소득을 향상시키고,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사업을 통해 고품질의 조사료를 생산·유통하여 관내 축산경쟁력을 강화하겠다.
가축질병 청정지역 사수, 자연순환 농업 활성화
체계적인 방역관리를 통한 아프리카돼지열병·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 등 가축 전염병 차단을 위해 가축질병 예방백신 지원, 공동방제단 운영, 거점소독장소 운영 등 예방위주의 가축질병 방역체계를 구축했다. 그 결과 2014년 이후 7년 연속 구제역·AI·ASF 비발생 지역으로 군의 높은 관심과 의지, 농가의 협업으로 가축질병 청정지역 사수를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 가축분뇨를 퇴비·액비로 자원화하여 사료작물 재배에 이용하고 여기에서 수확된 작물을 가축에게 급여하는 등 자연 순환 농업을 활성화해 지속 가능한 축산기반을 구축하겠다. 또한, 축산농가에 악취 저감시설 및 악취 저감제를 지원하고, 깨끗한 축산농가를 지속 발굴하여 군민과 상생하는 악취 없는 농촌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 축산물 소비량 증가 및 안전한 축산물 소비에 대한 군민들의 기대감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축산물 판매·유통업소를 점검하고 안전한 축산물 공급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겠다.
예산내역 <단위: 만원>
|
항목 |
예산 |
|
합계 |
197억6,830 |
|
원예특작 기반 조성 |
20억0,514 |
|
식품가공산업 육성 |
24억8,336 |
|
농촌체험휴양마을 육성 지원 |
1억3,475 |
|
축산 경쟁력 강화 |
72억9,259 |
|
축산기반 구축 |
76억6,215 |
|
기타 |
1억9,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