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한해 군민들을 위해 추진할 영광군 주요 업무계획을 부서별로 살펴본다. <편집자 주>
군민 기대에 부응하는 환경 행정 실현
환경과는 기후변화 적응, 미세먼지 대응, 환경 오염 문제, 쓰레기 처리 문제 등에 보다 체계적으로 신속히 대응하여 군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환경 행정을 실현하겠다. 생활폐기물 발생량 증가로 인한 홍농 환경관리센터 부지 내에 일일 40톤 규모의 소각처리시설 증설하는 사업이 연내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을 완료하고 공사 착공을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다. 군민이 행복한 청정영광 조성을 전략목표로 기후변화 대응 및 유해 야생 동물 피해 예방, 환경 오염 예방 및 슬레이트 지원사업 추진, 폐기물 감량 및 재활용 활성화 추진을 위해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생태환경 보전 및 슬레이트 피해 저감
야생생물을 보호하고, 유해 야생 동물로 인한 농작물 피해 예방 및 포획 활동 지원 등에 1억 4,000만원을 투입하여 안정적인 농업 활동 지원 및 생태환경 보전에 힘쓰겠다. 또한, 현재까지 1급 발암물질인 석면으로 되어있는 노후 주택의 슬레이트를 11년간 총 2,143동, 32만3,904㎡를 철거 지원하였고 2021년 슬레이트 건축물 7,000여 동에 대한 실태조사를 마쳤으며, 올해도 주택 등 255동을 대상으로 9억 8,600만원을 투입하여 주택 지붕 슬레이트 철거 및 처리 지원함으로써 군민의 건강한 주거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기후변화 대응 및 미세먼지 저감
기후변화 취약계층 이용시설인 경로당을 대상으로 차열 지붕을 조성하고, 노후경유차 조기 폐차, 매연저감장치 부착 등 대기질 개선사업에 32억원을 투입하여 군민들이 숨쉬기 편한 대기환경을 조성, 군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힘쓰겠다. 또한, 대기환경 측정망에서 측정한 대기환경 정보를 미세먼지 신호등 및 군 누리집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 제한 단속을 실시하여 군민 건강 보호에 힘쓰겠다. 탄소포인트제는 지속 추진하여 더 많은 군민이 온실가스 감축 및 저탄소 친환경 실천에 동참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 중점 관리
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에 대한 통합 지도・점검 계획을 수립하여 환경오염물질 불법 배출, 비정상 운영, 방지시설 정상 가동 여부 등 정기・수시 점검을 실시하여 환경오염행위를 사전에 예방하겠다. 명절 연휴 및 장마철 등 취약시기별 점검반을 구성 특별 점검을 실시하는 등 환경오염물질 배출사업장에 대한 지도・점검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드론을 활용하여 하천 등 오염 우심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행위를 사전에 예방하고, 즉각 발견 및 조치 할 수 있도록 감시체계를 구축하는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하여 지도・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분리배출 활성화 및 친환경 수거 체계 구축
생활폐기물 적기수거를 위한 인력운영과 장비 관리로 깨끗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데 만전을 기하겠다. 농촌 지역의 주요 폐기물인 영농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수거하기 위하여 수거 장려금 지급(1억 4,000만원), 공동 집하장 5개소 설치(2,500만원), 도로변이나 농경지 등에 방치된 폐농기계 및 폐타이어 수거‧처리(400만원) 등 우리 지역 특색에 맞는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겠다. 또한,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민선 8기 공약사업으로 주민 참여형 사업인 가정용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기 설치지원 100대(5,600만원), 다량배출사업장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기 설치지원 2대(3,200만원),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제(RFID) 20개(4,000만원) 설치 등 친환경적 시책을 추진하고 재활용 동네마당 추가설치 및 분리수거함 배부 등 재활용품 수거 체계를 개선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 아울러 생활폐기물 재활용품 분리배출 및 생활폐기물 불법 투기 근절에 대한 적극적이고 다양한 홍보 활동을 펼쳐 환경보호에 대한 주민 인식개선에 최선을 다하는 등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에 만전을 기하겠다.
예산내역 <단위: 만원>
|
항목 |
예 산 |
|
합계 |
112억2,568 |
|
환경보전기반조성 |
35억2,958 |
|
-생태탐방로 시설관리 |
3억4,618 |
|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 |
28억 |
|
-매연저감장치(DPF) 부착 지원 |
1억4,850 |
|
-건설기계 엔진 교체지원 |
1억6,500 |
|
- 지자체 탄소중립 지원사업 등 |
1억 |
|
야생동물보호 |
1억4,709 |
|
환경오염물질배출사업장 관리통합지도점검 |
15억3,376 |
|
생활폐기물적정관리 |
59억5,979 |
|
-환경관리센터 운영 |
13억 943 |
|
-생활쓰레기 수거 |
10억9,381 |
|
-깨끗한 국토만들기 |
5억5,232 |
|
-폐비닐 수거 보상금 |
1억4,000 |
|
-매립시설 확충사업 |
10억5,272 |
|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등 |
18억1,15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