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수소폭발 방지용 수소 제거기의 성능실험 결과에 대한 지역사회의 반발이 심상치 않다.
지난 13일 한빛원자력안전협의회는 수소 제거율 실험결과 등을 보고 받았다.
수거제거율 실험은 일본 후쿠시마원전 폭발 사고 이후 후속 대책으로 한빛원전 등에 설치한 제품 성능을 검증한 결과다. 이 과정에 공익신고가 제기됐고 해당 제보 문건을 지역에 늑장 전달하며 은폐 논란까지 불거진 관심이 높은 현안이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이번 실험결과를 지난 9일 원자력안전위원회 보고에 이어 영광지역 안전협의회에도 보고했으나 문제점에 대한 격론이 오갔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규제요건에는 불만족하지만 자연 제거로 위험성은 없으나 불만족이 확인됐으니 당장은 아니라도 만족하도록 하라는 이상한 결론을 만들었다.
이는 현실적으로 한수원의 능력이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 따른 넘어가기식 결과이다.
수소제거기는 원자로 건물 내에서 핵연료가 녹아내리는 등 중대 사고로 수소가 발생했을 때 필요한 중대사고 완화장치이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속 안전대책으로 우리나라 모든 원전에 설치된 장치로 이번에 실험한 세라컴사 수소 제거기는 국내원전 18기에 설치되어 있다. 문제의 핵심은 이미 실험을 실시한 KNT사 수소 제거기와 마찬가지로 세라컴사의 수소 제거기 역시 수소 제거 실험 시 화염과 불꽃이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원전에서 중대 사고가 발생할 경우 녹아내린 핵연료가 있는 격납건물 하부온도가 2,000도까지 올라가므로 세라믹 소재 수소 제거기는 중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원전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의 의견이지만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폭발을 막기 위해 설치된 장치가 제 기능을 못 하고 도리어 화재나 폭발로 이어질 수 있다면 무용지물을 넘어 그 자체가 위험요소라고 주장한다.
광주·전남지역 탈핵 단체는 지난해부터 한빛원전에 설치된 수소 제거기가 불안하다며 제거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원전안전을 감시하는 국내 유일의 규제기관이지만 원전안전 문제에 대한 능력 부족이 계속된다면 누가 원전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지 묻고 싶다.
원전정책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안전이다. 정부는 수소 제거기 설치 문제를 투명하고 신속하게 조사하여 사고 방지 대책을 세워야 한다. 반핵단체에서는 해결책을 만들지 못하면 원전가동을 당장 중단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