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장단점 활용하는 전략 불구 시설 건축 집중
의료·체육 기능, 배후마을·기초생활 서비스 확대 공통
영광군이 농촌중심지를 배후마을과 도시를 연결하는 거점으로 구현할 목적으로 2028년까지 낙월면을 제외한 10개 읍·면을 대상으로 433억 규모의 농촌생활권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본지는 주요 사업 계획과 지역별 세부 추진계획을 살펴본다. 편집자 주.
면단위 공통점 영광읍·타지역 시설 의존
영광군이 전문기관을 통해 11개 읍면별 강점·약점·기회·위협 요인 등 SWOT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광·백수·홍농읍에 이어 나머지 7개 면단위를 살펴본다.
우선 면단위 지역은 대마, 군서, 묘량 등 산단과 농공단지가 있는 곳은 그나마 강점과 기회요인으로 꼽혔지만, 공통으로 정주여건 등 생활SOC 부족과 주민통합서비스 기능 취약, 향후 30년 인구 감소지역 등이 약점 및 위협요인으로 분석됐다.
특히, 보육·교육·복지·문화·체육 등 12개 분야 시설을 지역 내에서 이용하는지 아니면 외부에 의존하는 지 내·외부 이용률을 분석한 대부분이 영광읍이나 타지역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거나 심각했다.
이에 대마면은 ‘더불어 살아가는 주민, 함께 성장하는 대마면’을 테마로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위한 교육·체육 프로그램 및 배달 등 편의 프로그램을 운영해 평금마을 거점기능을 강화하고 배후마을에도 이를 전달하는 등 생활인프라 기능을 강화하는 전략을 추진한다.
군서면은 ‘건강하고 행복한 장수의 고장’을 테마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복지프로그램 제공으로 삶의 질 향상, 스트레스 관리, 심신 치유, 건강 케어 프로그램을 통한 복지 서비스 등 건강·돌봄 기능 강화와 공동체 육성, 배후마을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군남면은 ‘풍요로운 건강복지 일번지’를 테마로 체육·의료 프로그램 및 배달 등 복지 프로그램 운영 등 반안마을 거점기능 강화와 건강, 힐링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체육 서비스 제공 및 기존 입지시설을 활용한 배후마을 체육·의료기능 강화, 기초생활 서비스 확대 등을 추진한다.
‘건강 증진 활력 플러스’를 테마로 한 염산면도 스트레스 관리, 심신 치유, 건강 케어 프로그램을 통한 의료·체육 기능 강화와 주민 쉼터 조성으로 생활여건 만족도 확대를 비롯해 배후마을 체육, 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과 기초생활 서비스 수혜 여건 확대 전략을 세웠다.
‘편리한 복지생활 누리는 법성면’을 테마로 한 법성은 건강관리 및 건강케어 프로그램 운영과 어르신 포함 전 세대 휴식, 정신건강 교육으로 상호 돌봄 체계 실현 등 생활편의·건강기능 강화를 비롯해 전문인력 양성, 배후마을 편의·체육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을 계획했다.
불갑면은 의견수렴 결과 노후 공공시설 정비와 기초거점 주요기능 회복 필요성이 제기돼 복지회관을 리모델링해 코로나19 이전 진행했던 프로그램을 연계 운영하는 등 농촌 유휴시설 활용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묘량면은 노후 건축물로 인한 경관 저해와 좁은 골목길 등 재해위험에 노출되고 면소재지임에도 생활인프라가 매우 열악하며, 농촌주거환경이 매우 취약하다는 판단에 장동마을 중심으로 안전재해, 주택정비, 휴먼케어, 역량강화 등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을 추진한다.
다만, 면단위 대부분 지역이 비슷한 상황임을 고려하더라도 지역별 특징을 고려한 맞춤형 대책 보다는 의료·체육 기능강화, 배후마을로 서비스 전달 체계구축, 기초생활 서비스 확대 등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점은 아쉽다.
면단위 7개 지역에 188억원 투입 개발사업
대부분 어울림센터·복지센터, 프로그램들도 대동소이
농촌생활권 활성화 사업은 영광군 11개 읍면 중 낙월면을 제외한 3개읍 7개면에 433억원을 투입한다. 영광읍과 백수읍, 홍농읍에 이어 나머지 7개 면단위에는 어떠한 사업을 추진하는지 살펴본다.
#대마면 20억 배후마을 거점 정비 등 및 찾아가는 서비스= 대마면은 기초생활거점사업 일환으로 H/W 2억, S/W 18억 등 2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미 중심지에는 1차 개발 사업이 추진된 만큼 H/W분야는 평금마을을 대상으로 배후거점 정비에 2억700만원을 투입한다. 나머지는 S/W 사업은 17억9,300만원을 차아가는 배후마을 프로그램에 배정했다. 찾아가는 스마트기기 활용법을 비롯해 건강관리 프로그램, 교육·건강 배달부 역량강화, 빨래방 서비스, 경영지원 등이다.
#군서면 40억 어울림센터 신축 등 운영= 군서면은 총사업비 40억원을 H/W 32.8억, S/W 7.2억 등으로 배분했다. 지상 2층 연면적 660㎡ 규모의 군서어울림센터 신축에 32.8억을 모두 투입해 1층에는 노·노케어실, 공유식당, 빨래방, 인재양성실을 조성하며 2층은 강의실과 건강프로그램실, 주민커뮤니티실을 만들 계획이다. 외부에는 주차장과 야외마당, 주민휴게쉼터도 조성한다. S/W 사업비 7.2억원은 어울림센터 내 노·노 케어 프로그램을 비롯해 복지배달부 역량강화, 건강관리, 평생교육 등을 수행하며 나머지 4.32억은 배후마을에 동일한 찾아가는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군남면 20억 배후마을 거점 정비 등 찾아가는 서비스= 군남면은 총사업비 20억원을 H/W 2억, S/W 18억 등에 투입할 계획이다. 중심지에는 1차 개발 사업을 진행한 상태에서 반안마을을 배후거점 마을로 정비하는데 2억700만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나머지 17억9,300만원은 배후마을 프로그램으로 찾아가는 댄스 스포츠 교실, 건강배달부 역량강화, 건강관리 프로그램, 찾아가는 배달서비스, 경영지원 등에 투입할 계획이다.
#염산면 40억 어울림센터 신축 등 운영지원= 염산면은 총사업비 40억원을 H/W 33.52억, S/W 6.48억 등으로 배분했다. H/W 사업은 지상 2층 연면적 600㎡ 규모의 염산면어울림센터 신축에 대부분 투입하며, 센터는 1층에 건강프로그램실, 인재양성실, 빨래방, 공유식당, 휴게실을 갖추고 2층은 강당 및 강의실 등을 구축하며, 외부에는 주차장과 야외 스포츠 공간을 조성한다. 이와 별도로 기존 저류지를 활용해 기능을 유지하며 연면적 850㎡ 규모의 쉼터도 조성할 계획이다. S/W 사업은 2.16억을 어울림센터 내 건강관리 프로그램과 스마트 세대공감 교육, 신나는 스포츠 아카데미, 건강·교육배달부 역량강화에 투입하며, 나머지 4.32억은 동일한 배후마을 등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서비스에 지원한다.
#법성면 40억 복지회관 신축 및 운영지원= 법성면은 총사업비 40억원을 H/W 32.08억, S/W 7.92억 등으로 배분했다. H/W 사업은 지상 2층 연면적 460㎡ 규모의 법성복지회관 신축과 60대 규모의 생태주차장 조성에 투입한다. 복지회관은 1층에 빨래방과 경로당, 영상촬영실, 인재양성실을 설치하며, 2층은 공구방과 정리방, 강당 등을 비롯해 외부에는 쉼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S/W 사업은 3.6억을 복지회관 내 셀프 집수리 교실, 수납정리 클래스, 신나는 스포츠 아카데미, 나도 유튜버 및 동영상 제작, 편의·교육배달부 역량강화에 투입하며, 나머지 4.32억은 찾아가는 맥가이버 서비스와 수납정리 클래스, 빨래방 등에 지원한다.
#불갑면 4.5억 어울림센터 증개축 및 운영= 불갑면은 대규모 개발사업들이 이미 상당 수 추진돼 총사업비 4.5억을 배정했다. 2층 연면적 328㎡ 규모의 불갑어울림센터 증개축을 통해 1층은 공유식당과 빨래방을 2층은 농업인상담소와 강당 등을 조성한다. 기존 복지회관 프로그램과 연계해 우도농악대, 요가 및 필라테스, 고법 동아리 등을 운영 지원한다.
#묘량면 23.5억 안전재해 및 생활인프라 정비= 묘량면은 총사업비 23.5억원을 H/W 21.9억, S/W 1.6억 등에 배정했다. H/W 사업은 9.1억을 마을안길과 노후담장 및 위험옹벽, 소화전 정비 등 안전재해 분야에 투입하며 3.1억은 마을회관 리모델링 및 클린하우스, 귀농귀촌인 임시주택 등에, 8.3억은 노후주택정비 및 슬레이트지붕개량 등에 투입한다. S/W 사업은 나눔식당이나 생활환경개선공방, 마을역사기록 등과 리더교육 및 협의회 운영지원 등 역량강화에 지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