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복장유물

영광 불갑사 불상이 보물로 지정됐다.

국가유산청은 영광 불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등 총 4건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영광 불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靈光 佛甲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十王像 一括 腹藏遺物)은 수조각승 무염(無染)을 비롯해 정현(正玄), 해심(海心) 등의 조각승들이 1654(조선 효종 5) 완성해 불갑사 명부전에 봉안한 것이다.

이 불상은 발원문을 통해 지장보살, 무독귀왕, 도명존자, 시왕상 등 모두 27구의 존상이 제작됐음이 확인되고 있다.

특히 제작 당시의 완전한 형태 그대로 전해 조선 후기 불교 신앙과 조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수조각승 무염의 작풍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해심의 독자적인 양식적 특징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무염 및 그의 유파 형성과 전승을 파악하고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유물이다.

일부 존상 안에서 발견된 전적 등은 이미 20064월에 보물(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로 지정된 바 있다.

존상 속 복장유물은 존상과 함께 일괄 보존·관리될 때 더욱 의미를 지니기에 이번에 존상과 함께 보물로 지정됐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