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위기 극복② 취향존중, 안터취향 모임
전남형청년마을 ‘영광유별난안터마을’에는 ‘경험과 지혜가 많은 어르신’과 ‘열정과 밝은 에너지를 가진 청년’들이 함께 살고 있다. 두 세대가 만나 서로의 지혜를 교류하고 존중하며 취향 공유를 통해 진정한 우정을 찾아가는 현장을 들여다본다. <편집자 주>
우리는 ‘안터취향’으로 소통합니다
‘느슨한 관계’ 이어가기
군서면 ‘유별난안터마을’에는 취향이나 관심사를 기반으로 한 소통이 늘어나고 있다. 편안한 공간에서 나에게 집중하고, 타인과의 취향을 공유하면서 ‘느슨한 관계’를 이어간다. 수평적으로 소통이 이루어지고, 관심사나 취미가 비슷한 사람들이 모이기 때문에 대화가 잘 통하고 만나면 즐겁다. 같은 취향을 가진 사람들은 최소한의 모임을 진행하여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서로 소통하는 데에 쓰는 시간과 돈은 아까워하지 않는다.
취향을 깊이 있게 공유하기
안터상회는 같은 취향을 가진 사람이 모여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즐거움과 행복함을 느끼는 공간이다. 성별이나 신분을 구분하지 않고 비슷한 취향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대화와 토론을 하기도 하고, 상담·영화·음악·미술·요리를 비롯한 다양한 주제로 자연스러운 분위기의 대화모임을 운영한다.
수평적인 관계 속에서 자신의 취향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취향이 같은 사람들과 교류하며, 새로운 관계를 맺는다.
안터상회 공간 내에 안터취향 코너를 따로 꾸며 각종 전시와 프로젝트 홍보하고 있으며, 2025년부터는 찾아오는·찾아가는 안터취향 대화모임을 적극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꾸준한 관계 유지하기
우리는 안터취향공동체, 3년차 대화모임 운영사례 소개
▶인연의 시작: 1. 광주대학교 무역유통학과
‘영광유별난안터마을’과 ‘광주대학교 무역유통학과’는 지역 소멸 위기 해소와 안터취향 공동체활성화를 위해, 무역유통학과 재학생들이 안터취향 프로그램에 참여해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시간 갖고, 학과 전공역량을 활용한 능력과 아이디어를 적극 공유하여 안터상회 상품의 유통과 판매 전략을 함께 고민한다.
2022년 6월, 첫 만남
20여명의 재학생이 안터마을로 찾아와 마을 이장님과 마을 청년들과 함께 마을 한바퀴를 함께 돌며 마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대학생들은 마을 주민들이 심은 구절초 꽃길 풀 뽑기를 시작으로 영광애꽃 엉겅퀴 인절미 품펑회, 블루베리 수확체험(염산면) 활동을 전개했다.
2023년 5월(1박 2일), 두 번째 만남
재학생 8명이 1박 2일동안 영광에 머무르며, 영광애꽃 엉겅퀴앙금떡 품평회, 안터상회 상품에 대한 보완 및 개선사항 도출, 온라인 판매 가능성 타진 등 자문을 진행했다.
또한, 남동·안터마을 어르신 30분을 안터상회로 초대하여, 따뜻한 한 끼 식사와 간식을 대접하고, 안터마을 구절초 꽃 심기와 입석리 도동마을 골목길 벽화작업을 통해 쾌적하고 화사한 마을환경을 조성하는 활동을 전개했다.
2023년 9월(1박 2일), 세 번째 만남
안터상회 새로 출시된 제품을 선보이고, 재학생들의 반응과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해 상품 보완·개선하고자 다시 만났다. 재학생 16명과 안터 청년들이 만든 안터활력티를 함께 시음하고, 재학생들과 함께 직접 만드는 시간을 가졌다. 여러 가지 재배 작물로 맛과 향을 고려해 안터마을만을 위한 블렌딩 티 개발에 직접 참여하여, 새로운 활력을 채워 주는 차를 만드는 특별한 경험을 했다. 그리고 영광군불갑산상사화 축제장에 방문하여 상사화 꽃길걷기, 상사화 소원의 길, 상사화 미디어파사드, 상사화 달빛 야행을 즐기고, 안터상회 먹거리 부스에서 멋진 공연을 보며, 서로 더욱 친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 날에는 안터상회 영광곳간 착한가게 240호점 현판식에 참여하여 따뜻한 선행 문화 확산에 동참했다.
2024년 11월, 네 번째 만남
광주대학교 무역유통학과 윤인철 교수는 “영광군의 심각한 인구 감소와 지역 경제 침체를 겪으며 지방 소멸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의 특산물을 판매하는 안터상회와 무역 유통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광주대학교 무역유통학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지속적 연계를 통해 지역 문제를 해결하자”고 했다.
학생들이 안터상회에서 실제 상품 기획, 판매, 마케팅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현장 경험을 쌓도록 하는 현장실습 및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지역 축제에 함께 참여하여 지역 주민들과 소통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지역사회 공헌활동을 펼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