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봉주 영광군가족센터장·영광신문 편집위원

고봉주 영광군가족센터장·영광신문 편집위원
고봉주 영광군가족센터장·영광신문 편집위원

1550, 스페인 국왕의 별장이 있는 바야돌리드에서는 어처구니없는 인종 논쟁이 벌어졌다.

아메리카 원주민인 인디오들은 과연 인간인가, 아니면 동물인가?”라는 황당무계한 사건을 토론하는 회의였다.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이후 많은 스페인의 탐험가들이 속속 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해 갔다.

코르테스는 멕시코를 정복한 후 인디오들의 얼굴에 노예임을 표시하는 불도장을 찍었는데 주인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불도장이 얼굴에 새겨지면서 나중에는 불도장이 너무 찍혀 얼굴을 알아볼 수 없게 된 인디오들이 부지기수였다고 한다.

또한 이들은 그리스도와 열두 사도에게 영광을 돌린다며 재미삼아 원주민 13명씩을 꼬챙이로 꿰어 불태우기도 했다.

이들에게 신대륙은 하느님의 선물이었으며 이 땅을 개발할 수 있도록 인디오라는 공짜 노동력까지 함께 주다고 믿고 있었기에 인디오들을 학대하는데 조금도 거리낄게 없었던 것이다.

스페인 식민지 통치자들에 의해 원주민들이 강제노동에 동원되거나 잔혹하게 살해당하는 등의 참상이 스페인 사회에 알려지면서 큰 논란이 발생하자 진상 조사를 위해 스페인의 카를5세와 로마 교황청이 바야돌리드에서 회의를 소집했던 것이다.

만약 인디오들이 인간이라면 이들도 하느님의 창조물이기 때문에 그들을 무조건 노예로 삼는 것은 죄를 짓는 일이지만, 만약 인간이 아니라면 마음껏 노예로 부리고 학대를 해도 정당한 일인지를 판별하기 위해서였다.

신대륙을 통치하던 스페인의 정복자들은 당연히 인디오들은 인간이 아니거나 다른 문명인의 지배를 받도록 태어난 열등한 인간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인디오들도 자신들과 똑같은 인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었는데 주로 현장에서 참상을 목격한 수도사들이었다.

인디오들의 운명을 좌우할 이 치열한 회의는 1년 이상 계속되었고, 이를 '바야돌리드 논쟁'이라고 한다.

"인디오들은 인신공양을 하고, 인육을 먹으며, 문자도 없고, 자신의 문화를 보여줄 변변한 건축물도 없으며, 뚜렷한 종교가 없다는 점"을 들어 이들이 인간이 아니거나 다른 문명인의 지배를 받도록 태어난 열등한 인간이라고 주장했다.

"과연 인디오들에게도 사람의 감정이나 감성 같은 것이 있으며 지능이란 것이 있느냐?"는 것이 논쟁의 핵심이 되었다. 그야말로 인디오들을 원숭이처럼 생각한 것이다

인디오가 인간인지 아닌지를 알아보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채택했는데 그 중 압권은 멕시코에서 4명의 인디오 가족을 직접 운송해와 이 회의에 내세운 장면이었다.

판정단은 이들의 냄새를 맡아보거나 피부를 당겨 보기도 했으며 스페인 남자와 관계하면 임신을 할 수 있는가, 그런 결합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금방 죽지 않고 정상적으로 잘 자라는가." 라고 묻는 다거나. 아이의 엄마가 어떤 반응을 보일지를 알아보려고 아이를 빼앗아 칼로 찌르려는 동작을 취하기 하는 등 비인간적인 행동도 서슴지 않았다.

그러나 이런 우여곡절 끝에 15명의 판정위원들이 최종 판정을 내놓았는데 천만다행으로 "인디오들도 우리와 같은 인간으로 하느님의 자녀"라고 결론이 내려진 것이다.

그리고 즉시 교황이 "인디오들을 더 이상 노예 취급해선 안된다."는 교시를 신대륙의 모든 교구에 내림으로 해서 인디오들에 대한 가혹 행위는 대폭 줄어들게 되었다.

하지만 이렇게 비극의 막이 내리는 듯 했으나 또 다른 비극이 새로이 싹트고 있었다.

인디오들을 더 이상 함부로 노예로 쓸 수 없게 된 신대륙의 스페인 귀족들이 강력 반발하자 왕실 재정의 축소와 이들의 독립을 우려했던 스페인 국왕은 인디오보다 더 동물 같고 더 튼튼한 흑인을 노예로 쓸 수 있도록 결정해 주었던 것이다

이렇게 해서 아프리카에선 노예사냥이 벌어지기 시작했으며 수백만 명의 흑인을 짐짝처럼 실어서 아메리카로 보내는 처참한 노예무역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지난 해, 영광문인협회에서는 다문화가족들의 인권향상을 위해 다문화인권문학상을 공모하고 대상작 등 입상작을 발표하였다.

응모작품 심사를 하던 심사위원들은 밤새 눈물로 써내려 갔을 절절한 사연들을 읽어보면서 간간히 눈물을 훔칠 수밖에 없었다고 심사평에 썼다.

그것은 아직도 못사는 나라 출신이라는 차별과 편견 속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이 고단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는 반증일 것이다.

결혼이주여성은 언제가는 떠나갈 외국인이 아니라 한국인의 며느리이자 한국인의 아내이며 한국인의 어머니로써 이 땅에 뼈를 묻어야 할 한국인이기에 그들의 고단한 현실이 심사위원들의 가슴을 더 먹먹하게 했을 지도 모르겠다.

아메리카 인디오들이나 아프리카 흑인들에게 가해졌던 가혹하고 처참한 인권유린의 역사를 되짚어 보면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인권향상을 호소해 본다.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