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유통과>

혁신의 시작, 미래로 도약하는 영광 농업

서영신 농업유통과장

지금의 농업은 기후변화로 인한 예기치 못하는 재해, 인력구조개편과 농업생산비 급등 등 농업생산이 위협받고 있다. 지난해 겨울철 저일조, 집중호우, 가을철 극고온에 따른 병해충 발생 등의 자연재해와 생산비 급등은 어려운 농촌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 지난해 농업생산기반 유지와 농가 경영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전국최초 한시 농가경영안정자금 62을 긴급 지원하였고, 2024년산 벼 매입을 전남 최고단가(59,000~61,000)로 결정하는 등 농업분야 긴급 민생안정 시책을 적극 추진했다. 그 결과, 5천만원 이상 고소득농업인은 1,051(2023898), 6년 연속 전라남도 농정평가 최우수상 등 농업분야 5관왕으로 역대 최고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농업·농촌의 위기와 변화의 중심에서 소득·경영안정망을 구축하고 미래전략사업 발굴을 위해 새로운 농정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

선진농업복지 확대로 가치있는 현장 농정체계 구축

농촌지역 부녀화·고령화 등에 따른 농번기 일시인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계절근로자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관내 결혼이민자 본국 4촌이내 가족초청으로 250여명의 근로자가 현장에서 근무 중이며, 영광농협과 서영광농협에서 농촌인력중개센터를 운영하여 연 10,000의 인력중개를 계획하고 있다. 또한, 안정적인 소득보장을 위해 연 60만원 수준의 농어민공익수당 지급액이 상향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여성농업인의 문화 혜택을 위한 행복바우처는 지원대상자를 확대(20752080) 추진하겠다. 청년세대 유입을 위해 신규 농식품산업을 발굴하고 융자 확대 실행 등 파격적인 정책을 강구하여 열정과 아이디어가 많은 청년이 농업에 과감하게 도전할 수 있는 정책을 기획하겠다.

든든한 식량안보와 농업재해 적극 대응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예측하지 못한 잦은 농업재해와 농작업 안전사고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공약사업으로 농업정책보험의 보조율을 상향하여(90%93%) 전 농업인이 가입할 수 있도록 홍보할 것이며, 대규모 농업재해 발생 시 소규모 농가의 피해도 안정적으로 복구 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할 계획이다. 비료, 퇴비, 종자 등 필수농자재도 공약사업에 포함하여 농자재 가격이 급등할 경우 차액을 지원하는 영광군 필수농자재 지원 조례를 제정하여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에서 농업생산 기반을 유지하겠다. 농가 부채의 주 원인인 중대형 농기계에 대한 지원도 확대하며 벼 병해충 전면적 공동방제과 농자재 보급 등은 확대하겠다.

주요농산물 가격안정제 확대 시설원예 기반 구축

주요농산물의 생산기반과 농업인의 소득안정을 위한 농업분야 핵심 공약사항인 주요농산물 가격보장제 확대는 고추, 대파, 양파 뿐만 아니라 과수작목과 주요 특화품목을 추가하겠다. 인건비·유류비 등 급등한 농업 생산비를 현실감 있게 반영하여 농산물 가격변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군 조례를 개정해 주요 농산물의 생산기반을 유지하겠다. 2025년부터 신규 하우스 설치 농가는 보조율 10% 상향하여 사업선정 시 우선 지원하여 우리군 고품질 원예농산물의 조기·연중 출하를 위한 기반을 확대하고 관련 시설·장비 보급을 확대하여 농가 소득 안정 및 증대에 노력하겠다.

소비 트렌드 맞춤형 유통체계 구축

MZ세대, 젊은 부모세대, 1인 가구의 출현과 더불어 스마트기기 보급확대 및 대형 온라인몰·스마트스토어 등의 등장으로 농산물 소비트렌드는 온라인 중심으로 완전히 탈바꿈하였다. 우리군도 이에 발맞추어 쿠팡, 마켓컬리 등 대형 포털과 개별 온라인몰(스마트스토어 포함)을 저비용·고효율로 연결하는 중개몰을 운영하여 일회성 판매가 아닌 고정고객 확보까지 될 수 있도록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온라인 마케팅 활동을 진행하겠다. 또한 전년도 농식품부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23억 규모의 고품질 쌀 유통활성화 사업으로 영광군통합RPC와 굴비골·서영광DSC의 벼 건조 저장시설과 산물벼 수매시설을 개보수하여 철저한 영광쌀 품질관리로 유통확대와 수확기 벼 매입량 확대로 벼 재배농가의 경영안정과 수확기 쌀값 안정에 노력하겠다.

소규모 산지유통시스템 정착

농산물 소형저온저장고와 유통장비·포장재 등을 확대 보급하여 영세·소규모 농가가 생산하는 농산물의 직거래를 활성하겠다. 이와 별개로 지역농협이 참여하는 농가 조직화 및 계약재배 확대로 영광·백수농협 로컬푸드 매장과 영광농협 농산물 산지유통센터 활성화를 유도하여 농업현장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책임 유통 등 계획생산·유통시스템이 안정적으로 구축될 수 있도록 행정이 농가와 농협의 가교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

예산내역 <단위: 만원>

항 목

예 산 액

합 계

7335,823

농업인 삶의 질 향상

911,984

소비자 눈높이 농산물 생산

4273,634

친환경 농산물 확대 생산

938,974

원예특작 기반 조성

162,235

농산물판매촉진

287,686

농산물 유통시설 경쟁력 강화

177,029

행정운영경비

15,186

원전지역자원시설세사업

261,800

발전수주변지역사업

59,800

주민소득융자금지원

41,535

농업발전기금

205,960

 


 

<축산식품과>

지속가능한 축산·식품산업 기반 조성

조성기 축산식품과장

환율상승에 따른 곡물·사료 가격상승, 축산물 가격하락으로 상황이 어려운 축산업에 대한 경쟁력 강화와 높아지는 동물복지 관심에 따른 동물 보호문화 확산, 다양해지는 식품 소비 패턴에 맞춘 경쟁력 있는 식품산업 육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축산식품과는 2025지속가능한 축산·식품산업 기반 조성을 비전으로 삼고 미래 스마트·친환경 축산업 기반조성, 동물보호 문화 확산, 관내 축산악취 개선 및 고품질 조사료 생산 추진, 가축질병 없는 청정 영광 유지를 통한 안전 축산물 공급체계 강화, 지속가능한 식품산업 육성 및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사업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스마트·친환경 축산업 육성과 동물보호 확산

축산시설 현대화, 축산분야 ICT융복합, 자동목걸림장치, 가금농가 시설 장비, 축산농가 맞춤형 장비 지원으로 중소농가 축산경쟁력을 강화하고 스마트·친환경 축산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축산재해 피해 발생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가축재해보험 가입비 지원 확대, 축사 환풍기, 축사 지붕 열 차단재 도포, 폭염대비 고온스트레스 완화제, 가축 면역증강 종합영양제를 지원하여 축산농가 재해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 한우등록, 한우우수정액, 한우 유전체 검사, 젖소 개량, 한우송아지 브랜드 육성 지원 등 가축 개량 촉진지원으로 고품질 축산물 생산기반을 확립하고, 축산 헬퍼, 가축인공수정사, 낙농환경 개선 지원 등으로 축산농가의 경영안정에 노력하겠다. 유기·유기동물 구조보호비, 동물보호센터 운영비, 유기동물 입양비, 길고양이·실외사육견 중성화 수술비 지원 등으로 동물복지 강화 및 반려동물 보호 문화를 조성하도록 하겠다.

 

관내 축산악취 개선 및 고품질 조사료 생산 추진

가축분뇨 적정처리 및 쾌적한 농촌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미생물을 활용한 축산농가의 악취를 적극 개선해 나가겠다. 또한, 낙후된 가축분뇨 기계·시설 등을 보완하기 위해 내년도 국비사업에 적극 공모할 계획이다. 축산업 이미지 제고를 위해 깨끗한 축산농가를 지속 발굴하여 군민과 상생하는 농촌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 국제 사료원료 곡물과 국내 사료 가격 인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축산농가의 경영난 해소를 위해 국내산 고품질의 조사료를 생산·유통하여 축산 경쟁력을 강화하겠다. 축산농가의 사료비 절감을 위하여 TMR배합기, TMF 사료 구입비, 조사료 이용 장려금, 저금리 사료구매 자금 대출도 지원하겠다.

 

가축질병 없는 청정 영광, 안전 축산물 공급체계 강화

전국적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및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상황에, 선제적인 방역조치로 관내 가축질병 유입을 원천 차단하겠다. 축산농가에 방역 설비 및 장비, 면역증강제 등 가축질병 예방약품을 적기 지원하고 강화된 방역시설 구축을 지원하여 위험요인을 차단함으로 농가 주도 책임방역 체계를 구축하겠다. 또한 가축 질병 예방백신 지원, 공동방제단 운영, 거점소독장소 운영, 드론·광역방제기·군 소독 차량을 통한 소독 실시 등 예방 위주의 방역을 추진하여 지속 가능한 축산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안전한 축산물 공급체계를 강화하겠다.

 

지속가능한 식품산업 육성 및 농촌관광 활성화

찰보리 어울터 완공으로 찰보리를 활용한 교육·체험 프로그램과 홍보·판매장을 통해 관광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겠다. 이를 통해 전국 유일의 보리산업 특구 위상을 강화하고, 영광 찰보리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계획이다. 지속적인 농어촌민박 점검과 서비스 개선을 통해 방문객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을 유도하여 농촌관광의 경쟁력을 한층 더 끌어올리겠다. 농촌체험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통해 가족, 학생, 단체 등 다양한 관광객 층을 유치하고 지역 주민과 상생할 기반을 마련하겠다. 농촌융복합산업 사업자 인증 및 도지사품질인증 제품 확대를 통해 지역 특산품의 품질과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초점을 맞춰 농식품의 소비 확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

 

예산내역 <단위: 만 원>

항목

예산

합계

1596,472

축산 경쟁력 강화

1531,629

- 축산시설 및 환경개선

255,631

- 동물보호 및 복지

35,841

-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

653,799

- 축산 악취개선

79,400

- 축산농가 생산성 향상

52,801

- 동물질병 방역

454,157

농업농촌 역량강화

48,057

- 식품가공산업 육성

37,440

- 농업 소득원 발굴

10.617

기타

16,786

 
 
 
저작권자 © 영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